-
‘시간당 2만9916원’ 시급 가장 높은 알바 알고 보니···
시급이 가장 높은 알바 직군으로 ‘베이비시터·가사도우미’가 꼽혔다. 이 업종의 평균시급은 2만9916원이었다. 알바천국이 올 1월부터 6월까지 알바천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 등록된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어 ▲택배·퀵서비스(2만5912원) ▲방문·학습지 교사(1만8229원) ▲교육·강사 기타(1만7719원) ▲공사·건설현장(1만7544원) ▲청소·미화(1만7195원) ▲호텔·리조트·숙박(1만7156원) ▲외국어·어학원(1만4479원) ▲예체능 강사(1만3978원) ▲복합쇼핑몰·아울렛(1만3782원) 순이었다. 반면, 공고 평균시급이 가장 낮은 업종은 ‘편의점’으로 올해 법정 최저시급(9620원)보다 88원 많은 9708원이었다. 이어 ▲뷰티·헬스스토어(9761원) ▲베이커리·도넛·떡(9773원) ▲캐셔·카운터(9775원) ▲아이스크림·디저트(9806원) ▲매장관리·판매(9863원) ▲커피전문점(9893원) ▲독서실·고시원·스터디룸(9903원) ▲DVD·만화카페·멀티방(9934원) ▲패스트푸드(9945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시급이 오른 업·직종 역시 ‘베이비시터·가사도우미(2만9916원)’가 차지했다. 2022년 상반기 공고 평균시급은 1만6202원으로, 올해 84.6% 상승했다. 이밖에 ▲호텔·리조트숙박(+50.9%) ▲택배·퀵서비스(+49.3%) ▲공사·건설현장(+28.3%) ▲청소·미화(+26.2%) ▲급식·푸드시스템(+23.0%) 등이 뒤이었으며, ▲헤어·미용·네일관리(-16.7%) ▲방문·학습지 교사(-13.8%) ▲판촉도우미(-6.9%) 등의 업종은 오히려 공고 평균시급이 감소했다.알바천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알바 채용공고 평균시급은 1만691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간 공고 평균시급(1만365원)보다 3.1% 증가했으며, 올해 최저시급 9620원과 비교해도 1,071원
2023.07.26 09:48:22
-
'시급 50만원' 판다 생파 준비할 매니저 공고에 1만3천여명 몰렸다
에버랜드의 간판스타 ‘푸바오’의 매니저 알바 채용공고에 1만 명 넘게 지원했다. 9일 당근마켓에 따르면 최근 마감된 ‘푸바오 매니저 알바’에 1만3621명이 지원했다. 모집 인원이 3명으로 경쟁률이 4540대1을 기록했다.모집공고에 따르면 이달 10일부터 14일 중 하루를 선택해 오후 3시 30분부터 약 1시간 동안 근무하면 된다. 시급은 50만원이다. 주요 업무는 이달 20일 생일을 앞둔 푸바오를 위해 사육사와 함께 선물과 식사 준비하기다. 단, 푸바오의 안정을 위해 만지거나 다가갈 수는 없다. 당근마켓은 7일 합격자를 선정해 개별 통보됐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서류 검토 후 추첨을 통해 합격자를 선정했다”고 했다.한편, 푸바오는 2020년 국내 첫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판다로, 국내 유일의 자이언트 판다 커플인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태어났다. 내년 7월 짝짓기를 위해 중국으로 보내질 계획이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7.11 07:55:01
-
'물가 오르는데...' 직장인 77% “시급 11,000원 이상 돼야”
직장인 4명 중 3명은 시급 1만1천원 이상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올해 최저임금 9천620원보다 많지만 노동계가 요구하는 1만2천210원보다는 적은 액수다.직장갑질119는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도 최저시급이 1만1천원(월 230만원) 이상 돼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77.6%였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만1천원(월 230만원)이 37.1%로 가장 많았고, 1만3천원(월 272만원) 이상 20.8%, 1만원(월 209만원) 이하 17.9% 순이었다.물가 인상으로 체감 임금이 줄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85.6%가 '동의한다' 또는 '동의하는 편이다'라고 답했다. 희망하는 월급 인상 액수는 평균 83만6천원이었다.권두섭 직장갑질119 변호사는 "최저임금위원회가 공개한 지난해 임금실태 분석자료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만1천원이 될 경우 저임금 노동자 약 557만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촉구했다.업종별 차등 최저임금 도입에 대해서는 65.0%가 반대, 34.0%는 찬성했다. 월급 150만원 미만 직장인은 70.8%가 반대했고, 150∼300만원 67.8%, 300∼500만원 61.0% 등 월급이 많을수록 반대 비율이 낮았다. 성별로는 여성 72.0%, 남성 59.7%가 반대했다.직장갑질 119 관계자는 "저임금 노동자들은 최저임금이 업종에 따라 달리 적용될 경우 자신들이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번 조사는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이달 9∼14일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6.26 07:52:15
-
올 여름방학 알바 한다는 대학생 96%, "‘급여’보다 ‘이것’ 더 중요해"
1학기 기말고사가 끝나고 본격적인 여름방학이 찾아온 가운데, 대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알바 업종은 무엇일까. 알바천국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알바 업직종은 ‘매장관리·판매(60.5%)가 1위였다. 근소한 차이로 ’카페·디저트(59.4%)‘가 뒤를 이었으며, ▲관공서(37.2%) ▲사무보조(30.0%) ▲테마·워터파크(16.8%) ▲호텔·리조트(13.0%) ▲입출고·물류(11.9%) 순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 타 학년과 달리 ‘사무보조(54.9%)’가 1위를 기록했으며, ‘관공서(47.6%)’ 알바에 대한 응답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번 여름, 알바를 계획 중인 대학생은 96.3%로 지난해 동일 조사 결과(92.2%)보다 4.1%p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면 대부분의 대학생이 올 여름방학 알바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름방학 알바를 계획 중인 대학생 4명 중 1명은 N잡 예정으로, 20.8%가 현재 근무 중인 알바 외 추가 알바 구하겠다고 답했다. 6.4%는 현재 근무 중은 아니지만 새로운 알바자리를 2개 이상 구할 것이라 답했다. 학년별로는 ▲1학년 98.2% ▲2학년 95.2% ▲3학년 94.4% ▲4학년 92.1%의 응답률로 저학년일수록 적극적인 구직 의사를 보였다. 여름방학에 아르바이트에 나서는 가장 큰 이유로는 물가 인상 등으로 인한 ‘금전적 부담’으로 나타났다. ‘2학기 등록금 및 용돈(59.3%, 복수응답)’과 ‘생활비(37.8%)’를 마련하기 위함이라는 응답이 1,2위를 차지했다. 이어 ▲국내 여행, 콘서트, 페스티벌 등 문화·여가 비용을 벌고자(34.8%) ▲방학에도 규칙적인 생활 루틴을 유지하고 싶어서(28.8%) ▲해외여행을 떠나려고(26.8%) ▲명품, 전자기기 등 갖고 싶은 물건 플렉스를 위해서(20.2%) 등이 이어졌다. 여름방학 알바 구직 시 가장 중
2023.06.22 08:32:59
-
다시 불붙은 최저임금 논란...내년 ‘1만원 천장’ 뚫을까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작업이 시작됐다. 과연 내년에는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5월 2일 1차 전원회의를 열고 내년도 최저임금액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보통 최저임금위원회 첫 회의는 노·사·공 위원들 간 서로 인사하는 형식적인 만남으로 이뤄진다.하지만 이번 회의의 경우 첫 시작부터 노·사·공 간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며 최저임금 결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한 상황이다.5월25일 열리는 2차 전원회의를 앞두고 벌써부터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2019년부터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인상률은 2019년 8350원(인상률 10.9%), 2020년 8590원(2.87%), 2021년 8720원(1.5%), 2022년 9160원(5.05%), 2023년 9620원(5.0%)으로 나타났다.내년 최저임금이 380원(3.95%) 오르면, 2024년 최저임금은 1만원을 넘어서게 된다. 대학생 희망 최저임금은 1만270원아르바이트생들은 예전 보다 큰 인상폭을 바란다.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김모씨(41·남)는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는데 여기에 맞춰서 최저임금도 올라야 한다”며 “내년에 1만원이 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통계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3월 알바천국이 대학생 1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년 희망 최저시급은 올해 9620원보다 650원 높은 평균 1만270원으로 나타났다.반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입장은 정반대다. 인상폭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경영에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지난해 6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한 ‘최저임금 및 근로실태 설문조사’에서도 이같은 입장을 엿볼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절반 이상인 51.8%가 ‘최저임금이 경영에 많이 부담된다’고
2023.05.09 19:5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