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학 전공한 배우 지망생 톰 브라운, 디자이너가 되다[류서영의 명품 이야기]
류서영의 명품 이야기/톰 브라운①패션의 아이콘(패션으로 관심을 끌고 숭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인 지드래곤(권지용 빅뱅의 멤버 가수)이 한때 톰브라운의 거의 모든 제품을 입어 화제가 됐다. 아마도 패션에 관심이 있는 젊은 남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톰브라운의 회색 4줄 카디건과 엉덩이를 가리지 않는 짧은 길의의 재킷에 짧은 소매, 복사뼈가 보이면서 7cm 정도 접어 올린 짧은 바지의 톰브라운식 슈트 코디네이트 방법을 선호할 것이다. 드라마 ‘펜트 하우스’에서 철없는 부잣집 아들 역의 배우 봉태규 또한 톰브라운 제품을 대거 입고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톰 브라운은 1965년 9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엘렌타운에서 태어났다. 인디애나 주 노터데임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지만 배우가 되겠다는 희망을 품고 있었다. 1988년 배우가 되기 위해 영화의 본고장인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지만 결국 배우의 길을 포기하고 1997년 뉴욕으로 이주해 조르지오 아르마니 쇼룸에서 판매원으로 일하게 됐다. 패션 전공하지 않고 디자인 교육도 안 받아정치학을 전공한 미우치아 프라다, 의대를 중태한 조르지오 아르마니처럼 톰 브라운 역시 패션을 전공하지 않고 정식으로 디자인 교육을 받지 않은 디자이너 중 한 명이다. 디자이너로서의 정식 경력은 조르지오 아르마니에서 나와 클럽 모나코로 직장을 옮겨 보조 디자이너로 일한 것이 톰브라운 브랜드를 론칭하기 전의 경력의 전부다. 2003년 톰 브라운은 뉴욕시 웨스트빌리지에서 메이드 투 메저(맞춤복)로 운영되는 매장에서 회색 슈트 5벌을 제작하며 사업을 시작했다. 각 재킷과 바지와 함께 회색 카디건과 흰색 옥스퍼드셔츠(약간 도톰하게 짜여진 면
2023.08.01 09:37:00
-
'과학 기술 발전 속도 빠르지만...' 이공계 대학생 10명 중 4명, '전공 만족감 낮다'
이공계 대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고 만족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하 직능연) 지난달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과학기술 분야 4년제 대학에 입학한 학생 38.8%가 전공 ‘부적응’ 유형에 분류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와 직능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I’,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에 기록된 1만2513명의 고교 졸업 후 진로 등을 추적·조사했다. ‘부적응’ 유형은 성취, 적성, 진로탐색, 대학·전공 적응 및 만족감이 전반적으로 낮은 집단을 의미한다. 이공계 대학생 10명 중 4명가량은 대학 진학 후 진로탐색이나 대학생활 적응, 만족감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공 성취와 적성 일치도가 높고, 진로 탐색도 활발하며, 대학 생활에도 잘 적응한 ‘고성취’ 유형 비율은 23.3%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수준인 ‘진로탐색’ 유형은 38%였다.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적응과 만족도는 부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부적응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공 부적응 유형에 속하지만 아버지가 관련 분야 연구개발직인 경우에는 대학원 진학률이 높았다. 이공계 대학생들의 전공 만족도 저하는 고교 시절부터 시작된다는 분석도 나타났다, 고교 시절 과학기술 관련 대학 전공이나 직업을 희망한 학생(1883명)의 절반가량(50.7%)은 ‘성취·동기 저하’ 유형으로 분류됐다. ‘성취·동기 저하’ 유형의 37.0%만이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 반면, 과기 분야에 대한 성취도는 높지만 동기는 낮은 유형(14%)의 경우 83.8%가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06.07 11:40:43
-
성적, 직업 위해 선택한 대학 포기하고 '반수·편입'으로 돌아선 대학생들 늘어
[한경잡앤조이=이진이 기자/서지희 대학생 기자] 2019년 국내 4년제 대학 자퇴율은 2.71%다. 최근 4년간 지역에 상관없이 대학 자퇴율이 증가했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2016~2019년 자퇴생 수와 비율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로 2016년 2.2%(4만6434명) 2017년 2.36%(4만8240명) 2018년 2.56%(5만1763명) 2019년 2.71%(5만4735명)를 기록했다. 자퇴생이 해마다 느는 만큼 반수&middo...
2021.03.02 16:2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