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집 밖 활동시간 '평균 10시간'···젊을수록 이동거리 짧았다

    개인이 하루 중 집 밖에서 보내는 시간은 10시간 가량이며, 이 중 4분의 1은 도로나 지하철 등 이동시간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거리는 중년층이 청년층보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길었다. 지역별 이동거리는 제주(32.4㎞)가 제일 짧고, 대전(52.7㎞)이 가장 길었다.국토연구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시공간 특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스타트업 위드라이브의 개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앱 이용자 2만4000명의 2023년 3~5월(수도권 신도시는 2023년 4~6월)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다.보고서에서는 개인이 집을 나서 귀가할 때까지인 활동시간은 평균 10.3시간이고, 이 중 이동시간은 2.5시간으로 집계됐다. 하루 중 이동시간이 24.3%를 차지했다.연령대별 활동시간은 20대부터 50대까지 9.7시간(580분)에서 9.8시간(586분)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이동거리는 2030세대가 31.4㎞, 4050세대가 44.5㎞로 중년층이 더 길었다.20대의 이동거리는 29.4㎞로 50대(48.1㎞)의 61%, 60대(44.5㎞)의 66% 수준이었고 70대 이상(30.4㎞)보다도 짧았다.김종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년층의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해 이동량도 많다고 볼 수 있다”며 “출산율 감소로 청년층이 줄어도 (고령화와 경제활동 기간 연장 등으로) 교통수요는 일정 기간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성별로 보면 남성의 활동시간과 이동거리는 10.2시간(612분)·49㎞, 여성은 8.8시간(529분)·24㎞였다.보고서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일상 활동 공간이 넓고, 직장 등 활동지와 주거지간 거리도 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육아 참여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

    2024.04.09 15:29:13

    집 밖 활동시간 '평균 10시간'···젊을수록 이동거리 짧았다
  • 집값 비싼 동네에 의사·병원 많았다···특목고 진학률도 3배나 높아

    집값이 높은 동네일수록 병원과 의사 수가 많았다. 공공도서관 및 체육시설 등 동네 편의 시설도 저가주택 군집지역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 양극화가 거주 학생들의 진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도시 내 고가주택 군집지역과 저가주택 군집지역 간 거주환경 격차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집값에 따른 격차는 보건복지와 교육 환경에서 가장 뚜렷했고, 공공도서관·체육시설도 차이가 컸다. 이번 연구는 455개 서울 내 고가주택 밀집 기초구역(공시가격 평균 13억원), 1025개 저가주택(공시가 평균 2억원) 군집 기초구역을 분류해 교통·생활·보건복지·교육·문화체육 등 거주환경 수준을 조사했다.조사 결과 병원 수는 고가주택 군집지역이 2547개, 저가주택은 2521개로 고가주택 지역이 소폭 많았다. 인구 1만명당 병의원 수를 비교해보면 고가주택 군집지는 25.5개, 저가주택은 14.9개로 차이가 났다. 인구 1만명당 의사 수 역시 고가주택 군집지는 50.9명, 저가주택 군집지는 22.2명으로 2배 넘게 차이가 났다. 저가주택 지역은 인구 대비 응급실이 더 많고, 응급실까지 거리가 짧은 특징이었다.국토연구원은 “저가주택 군집지를 공공병원, 의료원 설치 우선 지역으로 지정해 병의원과 의사 수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중학교 졸업생의 특목고 및 자사고 진학률도 차이가 컸다. 고가주택 군집지 내 중학교 졸업생의 특목고 및 자사고 진학률은 18.2%로, 저가주택 지역의 특목고 진학률에 비해 3배 높았다. 고가·저가주택이 섞여 있는 비군집지 진학률은 9.2%였다.인구 10만명당 공공도서관 수는 고가주

    2024.01.08 11:14:29

    집값 비싼 동네에 의사·병원 많았다···특목고 진학률도 3배나 높아
  • 저출산 원인, 첫째 아이는 주택, 둘째부터는 사교육비

    첫째 자녀 출산을 계획할때 주택 가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둘째 자녀부터는 교육비가 출산을 가로막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3일 국토연구원은 '저출산 원인 진단과 부동산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연구원은 16개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2009~2022년 동안 주택가격과 사교육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자녀 출산시 주택 가격이 미치는 영향은 전국 기준 30.4%, 둘째 자녀는 28.7%로 첫째 자녀가 높았다. 반면 사교육비의 영향은 첫째 자녀가 5.5%, 둘째 자녀가 9.1%로 분석됐다.첫째를 낳을까 말까를 고민할때는 주택가격이 변수가 된다는 것이다.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출산을 꺼린다는 얘기다. 둘째부터는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아이를 낳지 않는 원인이 된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첫째 자녀 출산을 유도하기 위해 주택공급 확대, 주택 취득세 면제 제도, 유자녀 가구에 대한 주거비용 절감 등을 정책 대안으로 내놨다. 둘째 자녀부터는 다자녀 기준을 확대하고 교육비를 지원하는 등 사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임나영 인턴기자 ny924@hankyung.com 

    2024.01.03 17:40:08

    저출산 원인, 첫째 아이는 주택, 둘째부터는 사교육비
  • 새 국토연구원장에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가 제18대 국토연구원 원장에 선임됐다.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는 8월 24일 이사회를 열고 심 원장을 새 국토연구원장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처리했다. 심 원장은 서울대 공학연구소 특별연구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동산TF 팀장,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 국토교통부 주거정책심의위원 등을 역임했다. 임기는 이날부터 2026년 8월 23일까지 3년이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8.27 19:04:24

    새 국토연구원장에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 “소득 높을수록 자녀 교육 중요” 3040, 첫 주택마련 ‘이 시기’ 가장 많았다

    자녀가 있는 3040세대가 집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자녀 교육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21일 국토연구원은 ‘3040 유자녀가구의 내 집 마련과 출산, 선택기준과 방해요인’ 이슈리포트를 발간했다. 자녀가 있는 전국 3040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514만6000원으로 맞벌이 가구는 전체 56.5%로 나타났다. 정규직 임금근로자는 전체의 64.3%였으며, 2자녀 이상 가구는 64.1%로 평균 가구원 수 3.8명이었다. 이들은 주로 자가(62.6%)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서울의 경우 자가 거주 비율이 44.5%로 평균보다 낮았다.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77.8%였고, 서울(63.3%)에 비해 수도권 외 지역의 아파트 거주비율이 높았다. 현재 사는 집을 선택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학원 등 자녀교육 여건(32.4%)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주택가격·임차료(24.4%), 직장 거리(17.1%), 주거환경(12.7%), 양육 도움(9.1%), 자산 가치(3.9%) 순이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교육의 중요도는 높았다.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의 경우 주택 선택 시 집값 등 주거비(36%)가 자녀 교육(27.2%)보다 중요하다고 답변한 반면,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가 자녀 교육을 1순위로 꼽은 답은 34.9%에 달했다. 자가에 거주하는 비율은 62.6%였고 전세(24.4%), 보증부 월세(11.8%)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집값 등 주거비가 비싼 서울은 자가 비율이 44.5%로 전세(43.4%) 비율과 큰 차이가 없었다. 자가 가구는 거주 주택 구매 시 집값의 36.1%를 은행 대출로 마련했다. 이들 가구의 월평균 원리금 상환액은 72만7000원이었다. 전체의 73.2%가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 거주 가구의 첫

    2023.08.22 11:18:16

    “소득 높을수록 자녀 교육 중요” 3040, 첫 주택마련 ‘이 시기’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