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엘론 머스크, 빌런에서 히어로 될까…암호화폐 상승 이끌 키워드 4

    2022년 암호화폐 시장은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테라·3AC·셀시어스·FTX 파산 등 암호화폐 시장만의 악재가 연달아 발생했다. 가격과 함께 신뢰는 바닥을 쳤다.‘암호화폐 겨울’을 맞아 기업들은 대규모 정리 해고를 실시하고 있다. 코인베이스·갤럭시디지털·크라켄·크립토닷컴·바이빗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은 대략 10~30% 내외의 인력을 감축했다.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DCG그룹, 암호화폐 시장의 오랜 뇌관이었던 테더, 이더리움의 증권성 이슈 등 언제 터질지 모르는 위기가 남아 있다. 우울한 전망이 지배적인 것을 보면 시장 사이클의 저점을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낙관론이 팽배할 때 약세장이 시작되고 비관론이 팽배할 때 강세장이 시작된다. 지금이 최저점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2020년 형성된 사이클이 2021년 강세장과 2022년 약세장을 거치며 막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생각해 봐야 하는 주제가 있다. 다음 사이클을 이끌 시장의 기폭제는 무엇일까. #1 Fed 금리 인상 속도 둔화미국 중앙은행(Fed) 금리는 암호화폐 시장뿐만 아니라 자산 시장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최근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언급한 바 있다. 2022년 6월부터 11월까지 4차례 0.75% 자이언트 금리 인상 이후 0.5%로 낮출 수 있다고 시사한 것이다. 참고로 현재 시장은 2023~2024년에는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될 것이라는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고 심지어 금리가 하락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암호화폐는 주식보다 민감도가 높은 투기성 자산군이다.

    2022.12.16 10:16:58

    엘론 머스크, 빌런에서 히어로 될까…암호화폐 상승 이끌 키워드 4
  • 씨티그룹 CEO “세계 각국이 경기 후퇴에 들어가고 있다”[이 주의 한마디]

    [이 주의 한마디]  미국 월가 거물들이 세계적 경기 후퇴가 다가오고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를 잇달아 제기하고 있다.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각국이 경기 후퇴에 들어가고 있고 미국도 내년 하반기에 경기 후퇴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12월 7일(현지 시간) 밝혔다.블룸버그에 따르면 프레이저 CEO는 이날 뉴욕에서 골드만삭스그룹이 주최한 투자자 콘퍼런스에서 “유럽은 이미 경기 후퇴에 빠졌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그는 유럽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에서 회복하는 데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 소비자들은 다른 나라보다 양호한 상태지만 미국의 상황도 이미 좋지 않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물가를 잡기 위한 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의 결과로 지금까지 잘 버티던 소비 지출도 조만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앤디 체체리 US뱅크코프 CEO도 소비 지출이 변곡점에 다다른 것 같다면서 소비자 지출이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브라이언 모이니핸 뱅크오브아메리카 CEO는 올해 들어 소매 결제액이 11% 증가하면서 4조 달러(약 5292조원)에 근접하고 있지만 11월에는 자사 신용카드의 지출액 증가율이 5%에 그쳤다고 밝혔다.또한 소비자 예금 잔액도 줄어들기 시작했다면서 내년 약한 경기 침체를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모이니핸 CEO는 미국 경제가 내년 1∼3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뒤 4분기에 소폭 반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찰리 샤프 웰스파고 CEO도 경기 둔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면서 내년 경기 침체에 빠지겠지만 비교적 가벼운 경기 침체이길 바라

    2022.12.16 06:03:01

    씨티그룹 CEO “세계 각국이 경기 후퇴에 들어가고 있다”[이 주의 한마디]
  • 무너져 내린 FTX…크립토 멜트다운 돌입?

    [비즈니스 포커스] 지난 5월 루나 사태에 이어 11월 세계 3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FTX 사태까지 벌어지며 암호화폐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FTX 사태 이전에도 암호화폐 시장은 혹독한 겨울을 보내는 중이었다. 투자자와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사건들이 연이어 터지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낙관론마저 사라지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후폭풍이다. FTX 사태 이후 유동성 위기가 더욱 심화되면서 암호화폐업계 내 연쇄 파산 우려가 높아지는 중이다. 단순히 암호화폐 시장을 넘어 전통적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암호화폐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의 파산인 만큼 연쇄 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경고다. ‘코인판 리먼 사태’로 불리는 FTX 사태의 후폭풍을 짚어 봤다.  커지는 FTX발 연쇄 파산 우려“암호화폐는 위험성이 높은 자산이다(Crypto is high risk).”11월 5일 전 세계 1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에 올린 글의 내용이다. 당시 암호화폐 시장은 세계 3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FTX에 대한 의혹으로 들썩이던 때였다. 미국의 코인데스크가 11월 2일 FTX 거래소의 계열사인 알라메다리서치의 대차대조표를 살펴본 결과 FTX가 발행한 코인인 FTT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알라메다리서치의 자산 총 146억 달러 가운데 약 58억 달러가 FTT였다. 자본의 약 40%가 FTX가 자체 발행한 FTT로 채워진 상황에서 FTT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를 고려한다면 사실상 알라메다리서치의 자산에는 큰 구멍이 나 있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11월 4일 이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점이 암호화폐 분석을

    2022.11.20 06:00:06

    무너져 내린 FTX…크립토 멜트다운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