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아이디어]
인프라 시설 투자가 미국 경제 살린다
[한경비즈니스=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최근 고압 경제론(인플레 또는 경기의 일시적 과열을 용인)을 들고나왔다. 미국 경제 상황이 녹록하지 않다는 경제관에 바탕을 둔다.

2013년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이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가졌던 연설에서 주장한 ‘구조적 불황(secular stagnation)’론에 가까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당시 구조적 침체론에 반대했던 옐런 의장으로서는 다소 창피한 일이 아닐까 싶다.

구조적 침체론과 관련해 ‘자연 금리’가 유용한 판단 기준이다. 자연 금리는 균형경제 상태에서의 금리로 미국 자연 금리는 계속 내리막길이다. 2016년 2분기 미국의 자연 금리는 0.4%로 역사적 저점 대비 불과 0.1% 포인트 높을 뿐이다.

자연 금리가 내리막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구조적 침체에 가까워지고 있다. 서머스 전 장관의 주장처럼 막대한 재정정책과 기업 투자 활성화를 통해 자연 금리 상승을 유인할 필요가 있다.

자연 금리를 높이기 위해 인플레이션 용인과 정부 및 기업 투자 활성화가 약이 될 수 있다. 옐런 의장이 고압 경제론에 더해 정부 역할론을 강조한 이유다. 서머스 전 장관은 며칠 전 씨티그룹 콘퍼런스에서도 미국 정부가 향후 10년간 국내총생산(GDP)의 1%, 총규모 2조5000억 달러의 인프라 시설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토목엔지니어협회(ASCE)에서도 지난 5월 보고서에서 미국이 향후 10년간 3조300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머스 전 장관의 제시 금액과 비슷하다. ASCE는 미국의 대부분이 인프라 시설에 대해 ‘C(보통 이하)’~‘D(열악)’ 등급을 부여한 바 있다.

힐러리 클린턴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후보 간 미국 대선 대결 결과는 아직 알 수 없다.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누가 대통령이 되든지 인프라 투자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소재·산업재 섹터에 대해 조정 때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근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