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수석부회장, ‘코드42’에 전략 투자
-최태원 SK 회장 “친환경 연료유 설비투자는 블루오션 시프트”
-허창수 GS 회장 “시장 변화 수용하고 유연한 조직 문화 구축해야”

김 회장은 23세이던 1958년 한국 최초의 원양어선인 지남호에 승선했다. 남태평양과 인도양에서 참치잡이 어선 선장으로 활동하며 ‘캡틴 킴’으로 불렸다. 1969년 4월 서울 명동의 작은 사무실에서 직원 3명과 원양어선 1척으로 동원산업을 창업했다. 1982년 국내 최초 참치 통조림인 ‘동원참치’를 출시했다.
김 회장은 2000년 동원F&B를 설립하기도 했다. 동원F&B는 유가공, 건강기능식품, 온라인 유통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2008년에는 젊은 시절 참치를 잡아 납품하던 미국 최대 참치 통조림 업체 스타키스트를 인수하기도 했다.
자본금 1000만원으로 시작한 동원그룹은 수산·식품·패키징·물류 등 식품 중심 4대 사업을 통해 연간 7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지주회사인 동원엔터프라이즈를 중심으로 동원산업·동원F&B·동원시스템즈 등 43개 계열사를 보유 중이다. 지난해 기준 재계 서열 45위다.
김 회장은 1982년 한신증권(현 한국투자증권)을 인수하며 증권업에도 진출했다. 2002년 동원산업과 금융 부문을 계열 분리했다. 금융 부문은 장남인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이, 식품 부문은 차남인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이 맡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수석부회장, ‘코드42’에 전략 투자…‘모빌리티 혁신’ 속도

정 수석부회장은 평소 “현대·기아차가 앞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대차는 “코드42의 기술진과 손잡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며 “전략적 투자를 계기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4월 15일 발표했다.
코드42는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인 송창현 대표가 지난 3월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출신 핵심 기술 인력이 대거 참여해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미래형 모빌리티 통합 플랫폼인 ‘유모스(UMOS)’를 개발하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드론, 자동 배달 로봇 등을 하나로 통합해 차량 호출, 차량 공유, 로보택시, 스마트 물류, 무인 배달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정 수석부회장은 자동차 회사가 더 이상 제조업에 머무르면 안 된다는 생각이 확고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미래 기술 기업에 투자를 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SK 회장 “친환경 연료유 설비투자는 블루오션 시프트”

SK에너지는 2017년 말부터 1조원을 투자해 감압 잔사유 탈황설비(VRDS)를 짓고 있다. VRDS는 고유황 연료유인 감압 잔사유를 경질유·저유황유 등의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하는 설비다.
최 회장은 “VRDS 투자는 기존 제품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내면서 일자리 창출과 기업 성장까지 이끄는 블루오션 시프트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며 “SK그룹이 추진하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한 성장’에서 환경이 차지하는 분야가 큰 만큼 성공적으로 진척시켜 달라”고 주문했다. 최 회장은 평소 “사회적 가치 창출을 축으로 경영 목표를 재설정하면서 새로운 블루오션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허창수 GS 회장 “시장 변화 수용하고 유연한 조직 문화 구축해야”

허 회장은 “한때 시장을 주도한 기업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결국 사라지는 것을 많이 봤다”며 “우리가 쌓아 온 노하우와 성공 방식이 새로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일지 의심해 보고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서도 “투자와 혁신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등 기업 시민으로서 충실해 달라”고 강조했다.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자동차 사장 “한국에서 투자와 생산 활동 지속할 것”

르노삼성 노동조합은 지난해 10월부터 4월 17일까지 7개월째 60차례(242시간) 파업을 이어 가고 있다. 르노삼성 공장이 있는 부산 지역에서는 “르노삼성이 부산을 떠날 것”이라는 얘기마저 나온다.
시뇨라 사장은 “회사 생존을 위해 조속한 노사 임금·단체협약 타결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병원 농업협동조합중앙회장 “내년 농가 소득 5000만원 달성 지원”

김 회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4월 15일 열린 취임 3주년 간담회에서 “농사짓는 데 드는 비용을 줄여주는 동시에 농산물을 제값 받고 팔 수 있는 시스템이 조성되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량 구매를 통해 비료 가격을 낮추고 농기계 대여 사업 등을 확대해 농업 경영비를 끌어내리겠다”며 “농협 공판장과 주요 출하처 사이에 업무협약(MOU)을 맺어 가격을 생산비 이상으로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성규 KEB하나은행장 “5000억원 투자해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

원큐 애자일 랩은 KEB하나은행이 2015년 6월 시중은행 중 처음 내놓은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다. 지난해까지 총 54개 스타트업을 발굴해 12개 기업에 39억원을 직접 투자했다. 올해는 지원 규모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지 행장은 “투자 규모만 늘리는 게 아니라 해외 진출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것”이라며 “스타트업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디지털 혁신을 일으키는 사업 모델이 되도록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취임 후 첫 조직 개편…조직 효율화 시동

김 회장은 조직 체계도 손질했다. 일부 부서를 통폐합해 ‘4본부 15개 부서’에서 ‘4본부 10개 부서’ 체제로 개편했다. 조직 슬림화를 통해 의사결정이 빠르도록 조직을 유연하게 바꾸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김 회장은 이번 개편을 통해 해외사업지원부를 신설하기도 했다. 지방에 기반을 둔 조직의 한계를 넘어 해외에서도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다는 전략이다. JB금융은 2016년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을 인수한 바 있다.
choies@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21호(2019.04.22 ~ 2019.04.28) 기사입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