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돋보기] [한경비즈니스 칼럼=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과 확산이 시작된 지 벌써 1년이 가까워지고 있다. 2020년 1월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을 때만 하더라도 과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처럼 그렇게 길지 않게 끝날 것으로 보였다. 그런데 어느덧 1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나고 이 또한 언제 끝날지 모르니 그 답답함과 함께 2021년의 경제 상황이 심히 우려되고 있다.
특히 국민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감소다. 통계청의 2020년 11월 고용 동향 발표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27만4000명의 일자리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임금 노동자가 16만9000명 줄었고 비임금 노동자가 10만5000명 감소했다.
문제는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계속 감소해 왔다는 것이고 앞으로 방역 등급이 3단계로 올라가면 일자리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다. 임금 노동자 중에서는 특히 임시직 노동자가 16만2000명 줄었고 비임금 노동자 중에서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결국 코로나19가 임시직 노동자와 자영업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자리 변화를 산업별로 보면 공공·복지 분야 일자리는 증가했지만 소상공인의 주 업종인 유통업과 음식업에서의 일자리 감소가 32만7000명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제조업에서 11만3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계층별로 살펴보면 20대와 30대 순으로 취업자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20대에서 20만9000명, 30대에서 19만4000명 감소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할 때 대학 졸업을 앞둔 예비 졸업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취업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청년층의 일자리가 준다는 것은 국가 경제의 미래 주역이 될 청년들의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기에 큰 문제다. 만약 코로나19가 2021년에도 지속되며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경제의 동력은 더욱 떨어질 것이고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어떤 대응책이 있을까. 특히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어떻게 만들어 줄 수 있을까. 먼저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에 앞서 스펙과 경험을 쌓으면서 취업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는 공공 기관에서 청년 인턴을 대거 채용하고 향후 취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일거리를 주는 방안이다.
기획재정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가 공공 기관은 340개(공기업 36개, 준정부 기관 95개, 기타 공공 기관 209개)가 있다. 여기에 지방정부의 지방 공기업과 지방 출자 출연 기관까지 합하면 약 1500개에 가까운 국가·지방 공공 기관이 있다. 바로 이들 공공 기관에 1년 기간의 청년 인턴 일자리 예산을 지원해 청년들이 스펙과 경험도 쌓으면서 취업을 준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청년들을 위한 공공 인턴제는 1년이라는 단기적인 일자리 해결 방안이지만 이들이 이러한 일을 하면서 학교에서 부족했던 실무 경험을 통해 경쟁력 있는 인력으로 성장하는 것 또한 공공 인턴제의 성과가 될 것이다. 물론 정부는 재정 부담이 큰 공공 인턴제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게 되기를 바랄 텐데,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투자를 많이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민간에서 일자리가 많아지도록 해야 한다.
이제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무너진 일자리를 어떻게 복원해 나갈 것인지에 그 무엇보다 온 힘을 쏟아야 한다. 특히 국가의 미래인 청년들이 일할 수 있도록 그리고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보다 더 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309호(2020.12.28 ~ 2021.01.03) 기사입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