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식의 정치판]
안철수·나경원·오세훈, 단일화 필요성 인정 불구 방식 이견
오세훈 “안 대표 국민의힘 입당을”·나경원 “2단계 경선을”
안 대표 측 “국민의 힘 입당 땐 중도층 마음 잃어 불리”

주목되는 것은 야권 후보들 간 합종연횡이 어떻게 진행되느냐다. 국민의힘 후보들과 이미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간 단일화 문제를 놓고 샅바싸움에 들어갔다. 단일화의 당위성에 대해선 모두 인정하고 있다. 이전의 어느 선거때보다 단일화에 대한 열망도 강하다. 연대를 하지 않고선 여당에 질 수 밖에 없다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안 대표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야권의 저변을 확대하려면 연대 할 수 밖에 없다”며 “지금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과 1대1로 싸우면 이기기가 힘들다는 게 세간의 평가”라고 했다.
나경원 전 원내대표도 기자에게 “비상식적인 세력에 맞서 상식적인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외치는 사람들을 다 엮어 내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단일화를 강조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이번 기회에 야권 자체가 단일화될 때 비로소 정권교체의 가능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단일화 방식을 놓고선 동상이몽이다. 모두 자신들의 방안이 여당에 승리하기 위한 최선책이라고 내세우고 있지만 정치적 유불리 계산도 깔려 있다. 나 전 원내대표와 오 전 시장 모두 안 대표가 국민의힘에 입당을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데는 뜻을 같이 하고 있다. 나 전 원내대표는 “통합해야 한다. 핵심 지지층을 모으고 중도로 외연을 확장하는 두 전략을 같이 쓰지 않으면 안 된다”며 “안 대표와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국민의힘에 들어오는 게 좋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다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안 대표가 단일화의 진정성을 보이려면 국민의힘에 입당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그러나 오 전 시장은 이런 방안에 부정적이다. 그는 안 대표가 국민의힘에 입당하거나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당대당으로 합당하지 않으면 출마하겠다고 했다. 입당 또는 합당을 불출마 전제 조건으로 내세운 셈이다. 안 대표의 입당을 압박하는 성격이 짙다. 그는 이런 방안을 내놓은데 대해 “입당 또는 합당 후 경쟁하는 방안이 야권단일화의 실패 가능성을 원천봉쇄함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오 전 시장은 “양 당의 화학적 결합만이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켜 서울시장 선거와 대선 승리 가능성을 최대한 높일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안 대표는 국민의힘 입당에 부정적이다. 그는 기자에게 “내가 (국민의힘으로) 들어가는 게 외연을 넓히고 확장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지 되묻고 싶다”고 했다.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 국민의힘에 입당한 다음 경선을 치르는 것과 제 3지대에서 국민의힘 후보와 경선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안 대표 측 설명이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국민의힘 입당을 선택하면 안 대표의 주요 지지층인 중도의 표심을 잃을 수 있다”고 했다. 중도 확장성에 도움이 안된다는 것이다.
중도층이 안 대표의 주요 지지층이라는 사실은 여론조사에서 확인된다. 리서치앤리서치가 동아일보의 의뢰로 지난해 12월 27∼29일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8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안 대표는 24.2%의 지지를 얻어 여야 서울시장 후보 중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무당층에서 30.0%의 지지율을 얻어 다른 후보들을 압도했다. 안 대표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여당을 이기려면 국민의힘 지지자, 중도 지지자, 합리적인 개혁을 바라는 진보성향까지의 시민들까지도 모두 힘을 합해야만 가능하고, 그 역할을 내가 하겠다는 것”이라며 “이 세 부류 중 하나라도 잃어버리면 선거는 굉장히 어렵다. 국민의힘도 당만 생각하지 말고 야권 단일후보를 찍을 수 있는 사람들을 최대한 모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입당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이유를 말한 것이다. 또 100% 여론조사 방식의 경선이라고 하지만, 국민의힘에 입당해 경선을 치르면 아무래도 국민의힘 조직의 힘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란 게 안 대표 측의 우려다.

그런 점에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5일 KBS에 출연해 “최종적으로 후보 등록 직전 야권이 서로 어떻게 협의를 해 단일화를 할 수 있으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고 한 발언이 주목된다.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3월 18일 직전 단일화를 이뤄 막판 극적 효과를 노리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yshong@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