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시장 급팽창…빅2, 서로 다른 전략으로 맞대결

마세라티 품은 효성, 코오롱 턱밑 추격
‘영원한 맞수’ 코오롱과 효성그룹이 수입차 시장에서 또 한판 붙었다. 이 시장에서 오랜 시간 겨뤄 온 이들은 최근 국내 수입차 판매율이 급성장하자 각자의 새로운 전략을 내세워 승자의 자리를 노리고 있다.

행보는 공격적이다. 코오롱은 중고차·자동차 2차 산업으로 발을 넓혀 시장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효성은 프리미엄 브랜드를 확보하며 몸집을 불리고 있다. 압도적인 규모로 상대를 제압해 시장 순위가 바뀔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국내 수입차 딜러사의 매출 60%(전체 2조5415억 원)를 차지하는 이들 상위 업체 간 치열한 전쟁이 시작됐다.

1988년부터 BMW를 수입하며 수입차 판매 선두권을 달리는 코오롱글로벌은 자동차 산업의 2차 시장, 중고차 판매·렌터카 시장을 공략한다. 장기 렌털·리스 사업부터 여기서 쏟아져 나올 중고차를 판매하는, 다시 말해 자동차 유통의 모든 구조를 이어 시너지를 내려는 전략이다. 자동차 산업은 연관된 사업 분야가 실제 많은 자동차 제조·유통사들은 금융, 중고차 시장, 부동산 등에 진출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코오롱, 2차 시장 잡는다
코오롱글로벌은 이를 위해 최근 BMW 중고차를 판매하는 BMW 프리미엄 셀렉션(BPS)과 BMW 모터바이크를 판매하는 BMW 모토라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코오롱 측은 “장기 렌털·리스 사업과 연계해 물량을 확보하고 업계 1위인 코오롱글로벌의 애프터서비스(AS) 부문의 역량과 결합해 품질이 보증되는 중고 수입차 판매와 BMW의 모토라드 사업 진출을 통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자동차의 보급 보유량 확대를 생각해 본다면 이후 2차 시장의 잠재 성장성은 무궁무진하다. 특히 중고차 매매 시장을 늘려 외형 성장은 물론 수익도 올리는 것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 바라보는 코오롱글로벌의 실적 전망도 낙관적이다. 김형근 메리츠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코오롱글로벌은 BMW 딜러 점유율 약 30%를 갖추고 있고 AS센터만 12개를 보유해 시장점유율 45%를 차지하고 있어 고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며 “2015년 하반기 BMW 주력 모델 3, 5, 7 시리즈 신차 출시에 따른 판매량 증가와 AS, BPS, BMW 모터사이클 사업 확대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오롱글로벌의 수입차 딜러 실적은 2012년 7094억 원, 2013년 7719억 원에서 2014년 8657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영업이익은 262억 원이다. 지난해 시장점유율 20%로 국내 수입차 시장 1위를 달린 BMW에 힘입은 결과다.

효성은 새로운 브랜드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메가 딜러’의 길을 택한 셈이다. 수입차 딜러 업계에서 말하는 메가 딜러는 여러 브랜드를 취급하는 수입차 딜러를 말한다. 수입차 본사와 협상력이 높고 판매와 서비스 노하우를 공유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가 딜러가 되기 위한 첫 행보는 FMK 인수로 시작된다. 최근 효성은 페라리와 마세라티 수입 판매사 FMK를 200억 원에 인수해 덩치를 키웠다. 조현준 효성 사장의 장인인 이희상 동아원 회장이 운영해 온 FMK는 이탈리아의 고급 스포츠카 브랜드인 페라리와 마세라티의 공식 판매사다. 독일과 일본차를 중심으로 판매 사업을 벌여 온 효성은 이번 인수를 통해 차종은 물론 브랜드를 다변화하게 됐다. 이에 따라 효성은 기존 벤츠(더클래스효성)·도요타(효성도요타)·렉서스(더프리미엄효성)와 함께 프리미엄 스포츠카까지 라인업을 구축했다. 업계에서는 FMK 인수로 효성이 수입차 판매에서 ‘절대 우위’를 차지했던 코오롱과 어깨를 견줄 만한 수준까지 올라섰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효성, ‘메가 딜러’ 향해 전력 질주
실제 매출의 급성장이 예고된다. 페라리와 마세라티를 품에 안으며 고급차 시장으로의 영역 확대에 나선 효성의 올해 매출액은 8000억 원대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효성의 수입차 판매 회사 3곳에서 일어난 매출은 6000억 원에 달한다.

여기에 FMK의 지난해 매출 1099억 원이 더해지면 7156억 원이다. 여기에 페라리와 마세라티는 대당 억대를 호가하는 고급 스포츠카 브랜드로, 최근 고급 스포츠카 시장이 급성장해 8000억 원 매출 예상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BMW 딜러인 코오롱글로벌의 지난해 매출(8657억 원)과의 격차가 단숨에 좁혀지게 된다.

업계에서는 효성이 수입차 딜러 산업을 확장해 나가는 것은 두고 효성의 주력 업종인 ‘섬유·소재’ 사업이 자동차 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수입차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수입차 판매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주력 사업 분야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효성은 타이어 소재인 타이어코드와 에어백·안전벨트 소재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다. 또 효성이 생산하는 탄소섬유와 폴리케톤은 완성차 업계에서 주목하는 자동차 신소재로 꼽힌다. 최근 효성의 탄소섬유인 탄섬을 적용한 콘셉트 카 ‘인트라도(현대차)’가 세계 최대 복합 재료 전시회인 ‘JEC 유럽 2015’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코오롱 역시 그룹의 주력 업종인 섬유·소재 사업과 자동차 산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안전벨트·에어백 등의 코오롱 제품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타이어코드·에어백 등의 산업 자재를 만드는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세계 최대 에어백 제조업체인 스웨덴의 오토리브와 미국의 TRW에 에어백 쿠션을 공급한다. 미국 크라이슬러 자동차 차량에도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에어백이 공급된다. 또한 차량 사고 시 공기주머니 역할을 하는 쿠션을 자동차 부품 모듈 회사에 공급하는데, 국내시장 공급량 1위, 세계시장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라이벌로 인식돼 온 효성과 코오롱이 수입차 딜러 시장에서 격돌하고 에어백, 신·재생에너지, 기능성 첨단 소재 부문에서도 시장 파이를 키우기 위해 경쟁을 펼치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며 “수입차의 선전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딜러의 매출 역시 1조 원대를 넘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돋보기
고급차에 빠진 대기업들
국내 수입차 딜러 시장은 코오롱과 효성뿐만 아니라 많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이 뛰어들었다. 코오롱과 효성을 포함해 GS(센트럴모터스-도요타), LS(베스트도요타-도요타), KCC(KCC오토그룹-벤츠·재규어랜드로버·포르쉐), 아주(아주모터스-볼보), 참존(참존오토모티브-벤틀리), 극동유화(선인자동차-포드·링컨, 고진모터스-아우디), 교학사(교학모터스-벤츠) 등 20여 곳에 이른다. 수입차 수입이 개방된 1988년부터 한진·두산·금호·동부·삼환·SK 등 굴지의 대기업이 직접 뛰어들었지만 1997년 외환 위기를 전후로 대부분이 철수하고 이들 위주로 재편됐다.

이 회사들의 최대 주주는 모두 기업의 오너가다. 이들은 최대 주주로서 회사 전반의 사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지분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더클래스효성은 효성(58.02%)과 효성가 3세인 조현준·조현문·조현상 등 3형제가 각각 3.4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효성도요타는 효성 40%, 효성 3형제가 각각 20%씩 보유하고 있다. 더프리미엄효성은 효성도요타가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최대 주주로 있는 코오롱이 48.94%, 이 회장이 0.46%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GS그룹의 아들 딸 모두 자동차 사업에 뛰어들었다. 센트럴모터스는 허완구 승산 회장의 딸인 허인영 승산레져 대표가 지분 18.67%를 보유해 최대 주주로 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과 GS그룹의 장손인 허준홍 GS칼텍스 상무가 각각 11.92%와 10.11%를 보유하고 있다.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의 차남인 허자홍 씨는 세계에서 단 한 대뿐인 슈퍼카를 직접 만들었다. 그는 캐나다의 모터스포츠 전문 업체 멀티매틱과 슈퍼카 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직접 디자인과 설계를 맡아 17억 원에 달하는 슈퍼카 ‘드 마르코스’를 만들어 내며 차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딜러는 안정적으로 매출과 이익을 내면서 꾸준히 현금을 창출할 수 있고 고급 브랜드를 운영한다는 이미지까지 얻을 수 있어 대기업들이, 그것도 3세를 위주로 앞다퉈 딜러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보람 기자 boram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