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사업을 소개하면 “그런 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가 있나요. 없다면 너무 이른 게 아닐까요”라는 질문을 흔히 받는다. 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판단을 유보한 채 이미 판이 굳어진 시장에서 2등이 되려고 하는 걸까.
2등을 선택하는 사회
이흥열 뉴로게이저 대표
1968년생. 1993년 단국대 경영학과 졸업. 2008년 (주)제너시스 템즈 서비스사업실장, 2011년 크라우드긱스 대표, 2014년 뉴로게이저 대표(현).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꽃은 단연 ‘경쟁’이다. 경쟁에서 확실한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그 어디에도 없지만 그래도 가장 확실한 연결 고리를 꼽자면 ‘혁신’을 들 수 있다.‘혁신(革新)’은 한자로 가죽 혁(革)자를 쓴다. 결국 혁신이란 자신의 가죽을 벗겨 새롭게 한다는 의미다. 혁신에 대한 몇 가지 속성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은 주도적이어야 한다. 혁신은 수많은 프레임의 빈칸을 채우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의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최고경영자(CEO)의 뇌를 분석하는 뉴로게이저의 사업을 소개하다 보면 가장 흔히 받는 질문이 있다. “그런 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가 있나요. 없다면 너무 이른 게 아닐까요.” 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판단을 유보한 채 이미 판이 굳어진 시장에서 2등이 되려고 하는 걸까.

둘째, 혁신의 과정은 실패가 따른다. 주변에서 실패를 경험하지 않고 성공했다는 기업인을 몇 번 만난 듯하다. 그러나 그들과의 만남이 유쾌하지는 않았는데, 대략 두 가지의 느낌이 들었다. 겁쟁이거나 거짓말쟁이거나…. 한국 사회는 유달리 실패에 인색하다. 창업 초기 한 직원이 사소한 일의 결정을 필자에게 물은 적이 있는데, 이렇게 대답했던 기억이 있다. “뭘 망설이죠. 본인이 결정하고 실행하세요. 설사 잘못된 결정을 했더라도 지금 우리가 감당할 손해는 아주 적습니다. 실패라는 게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에게는 지금이 훨씬 좋은 시기입니다.”

셋째, 혁신은 지속적이어야 한다. 혁신이란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속도를 무한정 높일 수 있는 그런 속도의 개념이 아니다. 하지만 혁신을 인지하면 속도에 대한 기대감과 욕심이 더욱 높아만 간다. 혁신 경쟁에서 밀려난 많은 기업들은 혁신을 이루는 비용보다 더 비싼 고통의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노키아·소니·마이크로소프트 등 각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두였던 기업의 현재를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혁신의 고삐를 놓치는 순간 더 큰 시련을 맞이해야 했다.

넷째, 혁신은 유연해야 한다. 혁신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과 ‘존재하고 있는 것을 달리 해석하는 것’이다. 몇 년 전 고무장화에 패셔너블한 재해석이 이뤄지며 맑은 날에도 고무장화를 신는 패션 리더들이 등장했다. 이것 역시 ‘혁신’이다. 제품의 수명 주기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아지고 있고 이제 기업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기업의 수많은 시장조사와 성공 전략도 어제의 결과라면 과감하게 휴지통에 던져야 한다.

이 밖에 혁신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지에 대한 답은 지금까지와 다른 모든 게 답이라고 할 만큼 다양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국내에는 아직 혁신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는 기업이 드물다는 것이다.

“100m를 18초 이내에 뛰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런 속도로 422번 반복하는 것은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것이 마라톤이고 우리가 새겨야 할 혁신의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