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지연·기업 재무건전도 취약, 상승장 걸림돌 … 회사채 만기도래 감안 ‘선별투자’

최근 정부와 금융권은 부진한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공적자금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회생가능성이 희박한 부실기업의 강제 퇴출을 시행했다. 그러나 퇴출기업 명단을 살펴보면 여전히 부실규모가 큰 대기업이 대부분 빠져 있다. 구조조정을 가속화한다는 정부와 금융권의 취지가 금융시장의 대혼란 가능성이라는 걸림돌에 의해 퇴색된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배경에서 점검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이슈는 부실기업 퇴출과 추가 공적자금 투입으로 구조조정이 완료될 수 있는지이다. 이것이 바로 채권의 발행 및 유통시장이 다시 활성화되고, 주식시장의 모멘텀이 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는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개별기업의 재무건전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잘 알려진 앨트먼(Altman)의 판별분석법을 이용해 국내 비금융업 소속 상장 및 비상장 3천8백63개 기업에 대해 9월말 현재 재무건전도를 측정하고 잠재적으로 부실가능성이 있는 기업의 차입금을 집계해 부실채권의 규모를 추정했다.(표 참조)상장 6백28개 기업중 관리종목이나 워크아웃에 편입된 1백50개 기업중 앨트먼모형에 의해 회생가능한 50개 기업을 제외하면 1백개기업, 차입금으로는 약 37조원이 금융권의 부담으로 남는다. 그러나 경기가 악화되면 추가로 58개 기업이 재무적 곤란을 겪을 것이다. 이들 기업의 차입금이 25조원이므로 상장기업내에서 최대 62조원의 부실이 예상된다.코스닥의 4백70개 기업중 부실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9.6%인 45개이다. 이들의 차입금은 2조8천억원이다. 코스닥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99년초부터 시행된 대규모 증자로 내부 유보자금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자보상비율은 거래소 평균치인 1.46보다 낮은 0.98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증자를 통해 확보한 유보자금이 소진될 경우 코스닥 기업들의 재무건전도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상장기업 부실금액만 최대 62조원 추정 ‘부담’대우차를 제외한다면 비상장 2천7백64개 기업중 13.5%에 해당하는 3백73개 기업이 경기가 악화되면 부실화될 수 있으며 이들 기업의 차입금은 20조원이다. 비상장기업은 평균차입금리가 거래소나 코스닥기업에 비해 약 2%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금리변동에 노출된 위험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대내외 경제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증시가 상승으로 전환되기 위한 필수조건인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다. 더구나 97년말 고금리로 발행한 회사채의 만기가 11월부터 도래하고 있어 자금시장의 경색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기업이 여전히 취약한 재무건전도를 갖고 있다는 현실에서 볼 때 회사채 만기도래 금액이 감소하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증시에 상당한 시장위험이 상존한다는 것을 고려,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