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리포트] 넷제로, 금융이 이끈다

지구촌의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이 팔을 걷어붙였다.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이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를 선도하며 산업계의 경영 패러다임을 친환경 기조로 바꿨다면 한국에선 은행권이 ‘기후 금융’ 논의를 이끌고 있다. 그 선봉에 선 KB국민·신한·하나·NH농협·우리·IBK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의 넷제로(net-zero) 전략을 짚어봤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가운데)과 하나 핫튜버들이 친환경 자가발전 자전거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사진=하나금융그룹 제공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가운데)과 하나 핫튜버들이 친환경 자가발전 자전거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사진=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은행이 무분별한 개발이 초래하는 환경·사회적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나선다.

하나은행은 올해 8월 ‘적도원칙(Equator Principles)’에 가입했다. 적도원칙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대형 개발 사업이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있으면 금융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전 세계 금융사들의 자발적인 행동 협약이다. 향후 하나은행은 자체적인 환경·사회 리스크 스크리닝 체계를 구축한 후 PF 여신 취급 시 위험 등급을 분류한다. 등급에 따른 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해 대형 개발 사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의 최소화한다는 전략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앞서 가입한 금융사들의 선례를 분석하고 주요 개선 과제들을 도출해 적도원칙 업무 매뉴얼을 완성했다. 또 적도원칙 프로세스를 적용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 개발과 교육 자료 제작을 통해 적도원칙협회 가입을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장애인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올해 8월 도쿄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의 선전을 기원하며 후원금을 전달한 데 이어 9월엔 청각 장애인 택시 서비스 기업에 친환경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2대를 기부했다. 이번 차량 기부는 ‘행복 C:AR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하나은행은 자체 자동차금융 브랜드 ‘원더카’를 통해 ESG 금융을 실천하고 있다. 원더카를 통해 적립된 기부금으로 장애시설에 차량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하나은행의 이 같은 행보는 하나금융그룹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일환이다. 하나금융은 ESG 경영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2021년을 ESG 경영 원년으로 선포하고 ‘내일을 위한 큰 걸음(Big Step for Tomorrow)’이라는 ESG 비전을 수립했다. 상반기엔 위원회를 설립하고 중·장기 추진 목표를 세우는 등 거시적인 계획을 세웠다면 하반기엔 목표를 수립하기 위해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다.

우선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3월 지주 이사회 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신설해 실행 체계를 구축했다. 금융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금융회사 최초로 ‘소비자리스크관리위원회’도 설립했다.

4월엔 그룹 ESG 중·장기 추진 목표 ‘2030 & 60’과 ‘제로(ZERO) & ZERO’를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2030 & 60은 향후 10년간 환경·지속 가능 부문에 총 60조원의 ESG 금융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ESG 채권 발행 25조원, ESG 여신 25조원, ESG 투자 10조원 등이다. 또 ZERO & ZERO에 따라 2050년까지 전 사업장의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총 6만3946tCO₂eq)의 20%를 2030년까지 감축할 계획이다. 석탄PF 잔액도 ‘0’로 하겠다는 목표다.

7월엔 상반기 주요 대출 자산에 대한 기후 리스크 분석 수행을 완료, 이를 반영한 재무 정보 공개 협의체(TCFD) 이행 보고서를 발간했다. 온실가스 대량 배출 산업 관리를 위해 ‘하나금융그룹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워크’도 제정했다.

9월 들어선 글로벌 환경 이니셔티브인 탄소회계금융협회(PCAF)에 가입했다. PCAF는 금융회사들의 투자 및 금융 거래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투명하게 측정, 공개하도록 통일된 탄소 회계 표준을 제공하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파트너십이다. 하나금융은 이번 PCAF 가입을 통해 사업장별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기준으로 재조정한다. 내년에는 그룹의 ‘자산 포트폴리오 탄소 배출량’ 목표도 공개한다.

하나금융그룹은 사회 공헌 활동에도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먼저 2018년부터 1500억원 규모의 어린이집 100호 건립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 집중 지원, 미혼모 주택 지원 및 취업 교육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이 프로젝트에 따라 2023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90곳, 직장어린이집 10곳을 설립한다. 올해 8월까지 43개 지역에 어린이집을 설립했고 100호 어린이집 부지 선정을 모두 마쳤다.

올해 6월엔 한국 금융그룹 최초로 청소년 사회 문제 해결과 건강한 성장 지원 위한 전문 공익 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은 보호 시설 청소년의 학습 및 자립 지원, 복지 사각지대 청소년 발굴 및 지원, 청소년 자살 및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3대 핵심 사업을 추진한다.
하나은행, 환경 파괴 사업 지원 중단 ‘시동’…ESG 경영 탄력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