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에선 포스코·SK하이닉스·삼성전자·LG화학 순
민간기업보다 공기업이 투자 규모 커
1조3000억원 투자한 한국중부발전이 1위 차지

업종별로는 공기업이 전체의 43.9%에 해당하는 3조9000억원을 투입해 가장 적극적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나섰다. 이를 통해 공기업은 10년 간 배출량을 15% 이상 줄였다.
업체별로 보면 지난 10년 간 누적 온실가스 저감 투자액에서 한국중부발전이 1조3020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포스코와 SK하이닉스,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이 투자액 ‘톱5’를 형성했다.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중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온실가스 저감투자액과 배출량을 모두 공시하는 213곳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온실가스 저감 누적 투자액은 8조8947억원으로 나타났다. 누적 투자 건수로는 5612건이었다.
이 중 공기업 15곳의 누적 투자액은 3조9026억원으로 전체 누적 투자액의 43.9%를 차지했다. 민간기업 198곳의 투자 규모(4조9921억원)를 감안하면, 기업 1곳당 투자는 공기업이 월등히 많았다. 공기업의 누적 투자 건수는 916건이다. 이는 전체 누적 투자 건수의 16.3%로, 민간기업보다 건당 온실가스 저감 투자액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공기업이 온실가스 저감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온실가스 배출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공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억8438만톤으로 2011년 2억1838만톤보다 15.6%(3400만톤) 줄었다. 공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곧 2억톤을 웃돌다, 2018년부터 꾸준히 감소해 2020년 처음으로 2억톤 밑으로 내려왔다.
민간기업(198곳)의 2011~2020년 온실가스 저감 투자액은 4조9921억원으로 공기업보다 많았다. 하지만 공기업과 달리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민간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7006만톤으로 2011년 2억2565만톤에 비해 19.7%(4441만톤) 증가했다.
민간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 2억2565만톤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17년부터는 줄곧 2억5000만톤을 상회하고 있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 투자보다 생산시설 확충 속도가 더 빨라 투자가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기간 온실가스 감축 투자액을 업종별로 보면 공기업이 3조902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석유화학 1조4981억원 △IT·전기·전자 1조3153억원 △철강 1조1131억원 △서비스 2767억원 △건설·건자재 171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공기업이 3400만톤이 줄어든 반면 민간기업의 경우 △IT·전기·전자 1305만톤 △석유화학 1290만톤 △철강 1177만톤 △생활용품 120만톤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기업별 누적 투자액 ‘톱10 중 다섯 곳이 공기업이었고, 톱10 기업 투자액이 전체 투자액의 65.5%를 차지했다.
기업별 누적 투자액을 보면 한국중부발전이 1조3020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포스코(8713억원) △SK하이닉스(7852억원) △한국남동발전(6280억원) △한국남부발전(6207억원) △한국철도공사(3732억원) △삼성전자(3608억원) △LG화학(3488억원) △한국동서발전(2675억원) △SK브로드밴드(2656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투자 건수로는 유통업이 1064건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많은 사업장 수와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사업 등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 뒤를 이어 △공기업(916건) △IT·전기·전자(777건) △석유화학(746건) △식음료(460건) △자동차·부품(460건) △철강(405건) 순이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