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유럽 각국에 복합 위기가 닥치면서 유로화가 급락하자 미국인들이 유럽 여행에 나서면서 명품 가방·보석·시계 등을 사들이고 있다. 까르띠에·바쉐론 콘스탄틴·몽블랑 등 명품 브랜드를 갖고 있는 스위스의 리치몬트의 올해 2분기 유럽 매출액은 1년 전과 비교해 42% 늘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인용한 부가가치세(VAT) 환급 제공 업체인 플래닛의 집계를 보면 올해 6월 미국 여행객들이 유럽에서 쓴 돈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전인 2019년 6월과 비교해 56% 증가했다.
이 때문에 유럽의 물가는 오히려 더 치솟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국은 ‘슈퍼 달러’에 맞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자국의 통화 가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외환 시장에 적극 개입,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달러 강세 #유럽 특수 #기축 통화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