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를 전문으로 다루는 오프라인 공간…비주얼과 텍스트에서 얻는 새로운 정보와 관점

지하 1층에 있어 종이잡지 ‘클럽’일까(강남의 대부분 클럽들은 건물 지하에 있다). 복도 중간에 넓게 뚫린 창으로 공간 내부를 살펴볼 수 있다. (사진=이제 작가)
지하 1층에 있어 종이잡지 ‘클럽’일까(강남의 대부분 클럽들은 건물 지하에 있다). 복도 중간에 넓게 뚫린 창으로 공간 내부를 살펴볼 수 있다. (사진=이제 작가)
영감은 마술사의 모자 속에서 튀어나오는 토끼가 아니다. 오감을 이용해 느낄 ‘무엇’ 이 필요하다. 대화를 나눌 사람이든, 푸릇한 봄내음이든.... 영어로는 투 인스파이어 (to inspire), ‘불어넣는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한다. 영감은 주는 존재와 받는 존재, 관계를전제로한다.
새로운 패션 트렌드가 궁금한 패션 피플, 자신의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꾸려야 하는 프리랜서나 구직자, 수많은 가능성을 고민하는 대학생, 끊임없이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획자들은 영감을 얻기 위해 무엇을 할까. 뭐라 설명 할 수 없는 느낌이나 감을 안고 레퍼런스를 찾는다. 더 나은 창작물을, 존재를 찾아.... 어떤 기획자들은 레퍼런스를 찾기 위해 핀터레스트라는 이미지 모음 웹 사이트를 찾는다. 아이디어·일러스트·사진 자료 등 전 세계의 이미지를 본다. 검색창에 크리에이티브(creative), 디자인(design), 템플릿(templete) 등의 키워드를 검색한 뒤 모호하게 가진 느낌을 기막히게 실현한 레퍼런스를 찾는다.
합정동에 있는 종이잡지클럽은 레퍼런스를 찾아 헤매는 사람들을 위한 오프라인 공간이다. 종이 잡지를 전문으로 취급한다. 잡지라는 매체는 비주얼과 텍스트를 아우른다. 잡지에는 새로운 정보와 정보를 새롭게 보는 관점이있다. 여전히 잡지는 영감의 원천으로 유효하다.
주인장은 이용자가 온전히 잡지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고민했다. 이를테면 잡지 열람은 무제한으로 가능하지만 노트북은 할 수 없는 것이다. 공용 와이파이도 설치하지 않았다. 그 대신 아늑한 1인용 소파가 있다. (사진=이제 작가)
주인장은 이용자가 온전히 잡지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고민했다. 이를테면 잡지 열람은 무제한으로 가능하지만 노트북은 할 수 없는 것이다. 공용 와이파이도 설치하지 않았다. 그 대신 아늑한 1인용 소파가 있다. (사진=이제 작가)
서로의 취향을 공유하고 활용하며 사람을 모으는 공간의 매력

합정역 5번 출입구 앞 골목은 스윙스가 자주 찾는다는 돈가스 가게, 영업시간 전부터 입장을 기다리는 일본식 덮밥집, 밝다 못해 눈부신 형광등 불빛이 새어나오는 횟집 등 즐비한 식당과 카페로 언제나 인산인해를 이룬다. 종이잡지클럽은 메인 먹거리가 있는 골목에서 한 블록 더 들어가면 모퉁이 건물 지하 1층에 자리 잡고 있다. 계단으로 내려가는 중간에 큰 창이 있어 창 안으로 공간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는 점이 좋다. 이곳은 보통의 서점이 아니다.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면 잡지를 열람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스토어다. 하루 이용권은 5000원. 운영 시간인 오후 12시부터 밤 10시까지 종일 이용할 수 있다. 비치된 잡지는 400여 종이다. 잡지를 잘 모르는 사람도 한 번쯤은 봤을 법한 매거진 B 시리즈, 세련된 표지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인 더 뉴요커(The New Yorker) 등 해외 유수 잡지와 패션·요리·리빙·과학 잡지·계간지·독립 잡지까지 각종 분야와 형태를 막론한다.

어디에서부터 무엇을 봐야 할지 막막하다면 차분하게 공간의 분위기를 느껴 보자. 눈에 띄는 잡지 하나를 꺼내 모서리를 만지작거리고 있으면 주인장이 다가와 말을 건넨다. “좋아하는 잡지가 있나요. 외국 잡지와 한국 잡지 중 어떤 잡지가 끌리세요.” 이용자의 취향과 주인장의 취향을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대화하다 보면 어느새 손에는 두어 권의 잡지가 들려 있다. 이용자의 요구와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되 적당한 친절과 제안으로 긍정적인 기분을 심어 준다. 유튜브에서 어쩌다 시청한 영상을 좋아하는 영상으로 분석해 비슷한 동영상만 끊임없이 보여주는 인공지능(AI) 봇과는 다르다.
출입문에는 미국의 시사 주간지 더 뉴요커(The New Yorker)의 표지 포스터가 붙어 있다. 더 뉴요커의 세련된 표지 디자인은 편집 디자이너들에게 레퍼런스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사진=이제 작가)
출입문에는 미국의 시사 주간지 더 뉴요커(The New Yorker)의 표지 포스터가 붙어 있다. 더 뉴요커의 세련된 표지 디자인은 편집 디자이너들에게 레퍼런스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사진=이제 작가)
종이잡지클럽은 잡지 열람뿐만 아니라 구매나 구독 신청도 가능하다. (사진=이제 작가)
종이잡지클럽은 잡지 열람뿐만 아니라 구매나 구독 신청도 가능하다. (사진=이제 작가)

한국 최초 회원제 잡지 클럽, 매력적인 혜택은

하루 이용권은 5000원, 3개월 이용권은 2만5000원, 6개월 이용권은 4만원이다. 회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서비스도 쏠쏠하다. 월 정기 모임인 '해외 잡지 함께 읽기', '문학 잡지 깊이 읽기'나 유료 토크 세션, 세미나에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스크랩북으로 자신만의 영감 파일도 만들 수 있다. 원하는 기사를 복사해 파일을 만들어 주는 서비스다. 20장 파일을 제공하고 40회 복사가 가능하다. 스크랩북이 완성되면 가져갈 수 있다. 흑백은 1만원, 컬러는 2만원의 추가 비용이 든다. 이 밖에 번역 기사를 열람하거나 회원이 기사를 번역하고 금액을 설정해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종이잡지클럽은 제주도에도 있다. 회원들은 서울과 제주점 모두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커피 한 잔 값에 10시간을 머무를 수 있는 곳, 판매 부진을 걱정하는 숍들 사이에서 '구경하는 것'을 콘셉트로 잡은 곳. 마진은 남을까, 유지는 될까. 아날로그 트렌드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의심과 가능성의 사이에서 기획자는 가능성을 선택한다. 갖은 걱정을 뒤로하고 종이잡지클럽 합정점은 올해로 5년 차에 접어들었다.
회원을 대상으로 매월 오프라인 정기 모임도 연다.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자연스레 모여 커뮤니티를 만든다. (사진=이제 작가)
회원을 대상으로 매월 오프라인 정기 모임도 연다.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자연스레 모여 커뮤니티를 만든다. (사진=이제 작가)


윤제나 한경무크 기자 ze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