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지하상가. 사진=한국경제 DB
서울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지하상가. 사진=한국경제 DB
“여기가 대체 어디야?” ㄱ씨는 서울 고속버스터미널를 자주 이용하지만 방문 할 때 마다 길을 헤맨다. 그때마다 내비게이션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ㄱ씨, 앞으로는 실내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까지 가는 보행길을 쉽게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

복잡한 지하상가, 헷갈리는 지하철 역사 등 실내에도 주소가 부여되어 길찾기가 한층 쉬워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주소체계 고도화와 주소기반 신산업 모델 개발을 선도할 지자체 25곳을 선정하고 국민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주소정보 서비스 모델을 발굴 보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25곳의 지자체는 2월에 시행된 2023년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혁신산업 창출 선도지자체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공모에는 85개 지자체가 응모했으며,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및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사업계획의 우수성, 실현가능성, 창의성,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했다.
이번 전국 확산을 목표로 시행되는 주소정책 선도사업은 국비지원 사업과 지자체에서 시범운영되는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고터’에서 길 잃었다면…복잡한 지하상가 ‘내비’ 뜬다
국비지원 사업에는 20억7000만 원이 투입되며 17개 지자체에서 △주소기반 드론 배송, △주소기반 로봇 배송, △자율주행차 주차 인프라 구축, △대규모 판매시설 주소 세분화, △주소정보시설 테스트베드 등이 시행된다.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은 12억원 규모로 8개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되며 △주소기반 실내내비게이션 실증, △항‧포구, 강 내 시설 주소부여, △사물인터넷 기기에 주소적용 및 지능형 주소정보시설 설치, △도로시설물에 주소정보 적용, △지하시설물에 주소정보 적용, △푸드트럭 등 시간개념 사물주소 시범구축 등이다.

예컨대 실내내비게이션의 경우 휴대폰에서 고속버스터미널 꽃집을 검색한다면, 실내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꽃집까지 보행길을 안내받아 꽃을 구입할 수 있다. 올해 내로 주소기반 실내내비게이션용 인프라 구축을 고도화할 계획이며, 2024년부터 전국 확산할 계획이다.

최훈 지방자치균형발전실장은 “중앙과 지방이 함께 주소정보를 확충해 주소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한편,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소기반 신산업 서비스를 적극 개발‧보급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번에 선정된 시범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