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20대 인구는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8000명이 증가했던 2021년 7월을 마지막으로 지난 5월까지 꾸준히 감소해 왔다.
이에 따라 20대 취업자와 실업자 수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기준 20대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만 3000명 줄어든 383만 3000명을 기록했다. 실업자 또한 작년보다 6만 7000명 감소한 24만 1000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그냥’ 쉬는 20대 인구는 더 늘어났다. 경제활동 상태를 묻는 항목에 ‘쉬었음’이라고 답한 20대는 35만 7000명에 달한다. 지난해보다 3만 6000명 늘어난 수치다.
이는 20대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 준비’(33만 1000명),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통학’(11만 3000명)을 넘어선다.
구직 활동을 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라는 답변(17만 3000명)이 가장 많았다.
이어서 ‘교육·기술·경험 부족’(16만 9000명),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10만 5000명)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2만 3000명),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만 명)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가 없는 니트(NEET)족 청년(15~29세)은 2016년도 이후로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