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 ‘개인의 능력에 따른 보상’이란 인식 높아
단, ‘한국 사회’에서는 ‘경제적 부’가 ‘개인의 능력’으로 여겨져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에서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능력주의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능력주의란 부모의 재력, 출신과 관계없이 개인의 능력에 따라 보상받는 것을 의미한다는 데에 공감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실력이 아닌 ‘경제적 부(富)’의 수준이 ‘능력’으로 인정되고 있었다.
실력보다 주변 환경적 요소가 사회적 성공의 기준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해 우려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능력주의’는 그 사람의 출신과 상관없이 순수한 개인의 능력에 따라 보상받고(77.7%, 동의율), 부모의 재력과 관계없이 개인의 능력으로 보상받는 것을 뜻한다(75.7%)고 생각할 정도로 능력주의에서의 ‘능력’을 ‘실력’의 의미로 해석했다. 반면, 한국 사회에서의 능력은 실력보다 경제적 부의 수준에 따른 결과로 여겨지고 있었다.
응답자 10명 중 8명(82.0%)은 한국사회에서의 능력이란 그 사람이 가진 배경, 자원, 인간관계를 총동원해서 성과를 내는 것으로 생각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능력과 실력이 비례하지 않고(68.8%, 동의율), 결국 능력이란 ‘얼마나 돈이 있는가’를 뜻한다(64.4%)고 답했다.
스스로의 계층 수준을 낮게 평가한 응답자를 중심으로 능력의 기준이 ‘경제적인 부’라는 인식이 두드러지는 특징(중상층 이상 50.0%, 중간층 58.7%, 중하층 63.7%, 하층 62.8%)을 보였다. 여기에 자신의 능력과 관계없이 부모의 재력 유무에 따라 이미 양극화의 차이가 있다(80.6%, 동의율), 한국 사회는 부모의 재력 없이 성공을 거두기가 어렵다(71.7%)고 평가할 만큼 ‘집안 배경’과 같은 환경적 요소가 사회적 성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응답자 10명 중 8명 “사회·경제적 배경 없이 성공한 사람들 존경”
능력주의가 집안 배경, 인맥 등을 총동원해 얻는 보상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응답자 10명 중 8명(80.3%)이 사회,경제적 배경 없이 성공을 이룬 사람에게 존경한다고 답했다. 이어 가정환경과 관계없이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결과적으로 모두 능력자(67.7%, 동의율)라고 답하기도 했다.
이에 부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성공하고 싶은 바람(69.6%, 동의율)도 높게 나타났으나, 순전히 내 능력만으로 어려움을 돌파할 수 있다는 믿음(38.0%, 동의율)은 낮았다.
한편, 경제적 부(富)나 학벌을 이용해 사회적 성공을 얻는 것에 대해서는 상반된 시각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한 부모의 배경을 이용해 사회적으로 성공을 거두거나(53.2%, 동의율), 실질적인 성과 없이 명문대학 학벌 하나로 수많은 기회를 얻는 것(43.6%)을 일종의 무임승차로 바라보면서도 부모의 배경을 통한 성공도 능력의 결과(53.9%)이고, 명문대 학벌은 수년간의 노력을 통한 결과이기에 더 많은 기회를 받아야 한다(49.7%)는 인식이 적지 않았다. ‘능력’은 결국 ‘사회적 성취’를 의미한다는 인식 높아
전반적으로 ‘능력이 있는 사람’을 표현할 때의 ‘능력’은 개인의 능력치를 의미하기보다 사회적 성취를 의미했다. 응답자의 상당수(77.4%)가 ‘능력이 있다’고 할 때의 능력은 순전히 개인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평가한 가운데,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지위(65.7%, 동의율)나 경제적 부가 그 사람의 능력을 말해준다(58.8%)고 답했다.
여기에 명문대학을 간 사람(68.9%, 동의율)과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은 능력이 있는 사람(60.7%)이라는 인식도 적지 않아, 지적 수준과 학벌도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