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정부 합동대책본부서 빈대 현황 파악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 합동대책본부는 이날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를 통해 전국 기초 지자체에 접수된 빈대 의심신고 건수 및 사실 여부, 대처 상황 등을 시설별·단계별·지역별로 파악해 보고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대책본부는 지자체별로 상황이 취합되는 7일부터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한 현황판을 만들어 활용할 계획이다.
빈대는 1960년대 각종 시설과 가정에서 흔하게 발견됐으나 이후 살충제 보급 등 방제가 확산하면서 사실상 사라진 해충이다. WHO에서도 1980년경 한국은 빈대가 박멸된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프랑스 등 해외 여러 나라를 중심으로 빈대 문제가 부상하면서 국내에서도 빈대 확산 여부를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로 빈대 신고 건수도 지난달부터 크게 늘어나고 있다. 2014년부터 약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달 5일 기준 서울시 각 지자체와 지자체 보건소에 들어온 빈대 발견·의심 신고 건수만 17건에 달한다.
올해 10월부터 11월 6일까지 국민신문고를 통해 질병청에 접수된 빈대 의심 신고는 총 11건이다. 정부 민원안내 전화인 '국민콜 110'을 통해 들어온 서울지역 빈대 의심 신고도 5건으로 집계됐다.
대책본부는 전국적인 현황을 만들어 현장 대책에 활용하되, 특정 시설에 빈대가 출현했다는 사실이 알려질 경우 2차 피해가 우려될 수 있는 만큼 이를 공개할지를 두고는 신중히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빈대가 집안 및 회사 곳곳에서 출몰되는 가운데 홍성준 해충방제전문가(케어원)는 “빈대 방제 방법으로 열풍·훈증(가스 퇴치법)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집에서 발견될 경우, 세탁이 가능한 침구류는 60도 이상의 온수로 세탁하거나, 스팀청소기를 활용해 스팀 후 사체를 진공청소기로 흡입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