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강원 등 혁신도시에 2027년까지 국비·지방비 등 3조2000억원 투입

광주·전남이 나주에 공동으로 조성한 빛가람혁신도시 전경.
광주·전남이 나주에 공동으로 조성한 빛가람혁신도시 전경.
정부가 향후 5년간 혁신도시의 발전 목표를 스타트업 등 혁신기업 유치와 청년세대 유입을 위한 정주 여건 조성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국비, 지방비 등 3조2000억원 가량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열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서 제2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023∼2027년)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계기로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를 일컫는다. 2005년부터 부산, 울산, 광주/전남, 강원, 경남 등 전국 시도에 추진된 151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2019년 말 완료되면서 정부는 5년 단위로 혁신도시의 발전 촉진을 위한 법정계획인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번 제2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은 제1차 계획(2018∼2022년)의 성과 평가와 시사점을 토대로 한 발전 전략, 사업 계획을 담았다.

정부는 먼저 혁신도시의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범부처 연계를 강화하고, 청년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역대학,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간 연계를 강화해 전문학과 운영 등으로 인재 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청년들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복합문화예술공간을 조성하고, 소아 야간·휴일진료 확대 등으로 보육환경도 개선하기로 했다.

또 혁신도시 주변 지역과의 연계, 교류를 위한 문화공유시설을 확충하는 등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2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의 총사업비는 3조2천217억원이다. 국비 1조5,209억원(47%), 지방비 1조3,475억원(42%), 민자 등 3,537억원(11%)이 투입된다.

이로 인한 혁신도시 생산 유발 효과는 약 6조73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약 2조6,864억원, 고용 유발 효과는 4만2,028개가 나타날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

2차 계획에는 혁신도시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발전지원센터를 세우고, 혁신특별회계와 연계한 상생발전기금을 조성하는 내용도 담겼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