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는 이동채 전 회장이 주요주주로 있는 데이지파트너스의가족사 지분을 토대로 약 1000억원을 출연해공익재단을 설립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공익재단은 설립 초기 1000억원으로 출발하지만 출연기금을 확대해 향후 5000억원으로 규모를 키워 나갈 예정이다.
에코프로 측은 "주로 지역의 문화 예술 인프라 개선으로 시작해 교육으로 지원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공익재단과 별도로 지방 벤처 기업들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펀드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공익재단 운영에는 향후 에코프로 가족사들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에코프로는 내년 3월쯤 설립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지방 소멸 방지는 기업인의 책무” 이번 공익재단 설립 배경에는 이동채 전 회장의 뚝심이 있었다.
이 전 회장은 오래 전부터 지방 인구감소와 소멸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업인으로서의 책무를 고민해 온 이로 유명하다.
1998년 서초동 10평 사무실에서 출발한 에코프로는 사업의 본거지를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닌 충북 오창으로 삼아 지역인재를 고용하며 성장했다.
정부는 올해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오창, 포항, 새만금, 울산 등 4곳을 선정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울산을 제외한 3개 지역은 에코프로의 선제적 투자가 특화단지 선정에 큰 힘이 됐다는 분석이다.
충북 오창은 에코프로 사업의 발원지로 1998년회사 설립 이후 지금까지 누적 투자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2017년부터 최근까지 2조원가량이 투입된 포항은 에코프로의 도약을 이끄는 핵심엔진인 이차전지 생태계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이 구축되어 있다. 에코프로는 오는 2025년까지 2조5000억원을 추가 투자해 제2 포항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대기업들이 인재난을 내세워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에코프로는 이처럼 지방에서 사업을 일으켜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에코프로의 이같은 발전모델은 지역소멸이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공익재단 설립은 에코프로 성장모델의 연장선상에서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를 개선하는 걸 목적으로 한다. 지방에서도 서울 등 수도권 수준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취지라고 에코프로 측은 설명했다.
이 전 회장은 평소 지인들에게 “나는 지방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업의 본거지를 지역에 두고 지역인재들을 고용해 세계적인 배터리 소재 회사로 발전시켰다”며“지방 소멸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해야 할 책무가 많다”고 강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공익재단 설립은 이 전 회장의 이런 고민의 결과로 기업경영을 넘어 기업시민으로서 책무를 다해야 한다는 소명의식이 깔려 있다고 에코프로 측은 설명했다.
또 공익재단 설립과 별개로 친환경 및 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위해될성부른 스타트업 투자도 구상 중이며 이를 통해 제2, 제3의 에코프로가 탄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