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백두산은 4분의 3이 중국 땅으로 포함됐으며 4분의 1은 북한이 차지하고 있다. 천지의 약 54.5%는 북한 쪽에 있다.
유네스코는 ‘창바이산’에 대해 “지린성 남동부에 있는 화산 활동의 야외 교실 같은 곳” 이라며 “가장 잘 보존된 화산 중 하나로 화산이 형성되는 과저을 연구할 수 있는 곳이며 정상에 있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크고 높은 화산호인 천지는 절경을 선사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자국 영토를 세계지질공원으로 등록한 것에 대해 문제 삼을 순 없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등재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백두산보다 ‘창바이산’이란 명칭이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번 ‘창바이산’ 등재로 ‘동북공정’이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동북공정은 중국 동북 3성 지방의 역사와 그것으로부터 비롯된 오늘날의 현실 상황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프로젝트로 2022년 2월 공식 출범했다. 2006년까지 총 5년 동안 진행됐다. 당시 예산 규모는 1500만 위안 (한화 약 25억원)이었다.
지난해 11월 JPI 정책포럼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동북공정은 지금도 공공연하게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영토 문제다. 중국은 한국에 ‘간도 영유권 포기’ 약속을 요구하고 있다.
또 중국 정부당국은 관방학계를 앞세워 지금까지 한국인들이 한(韓)민족 최초의 국가로 인식하고 있는 고조선에 대해 ‘중국인 국가’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2017년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과거 중국의 일부였다’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해당 소식은 트럼프가 WSJ와 인터뷰를 진행하는 도중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