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 카일리 제너가 개인 SNS 라이브 방송에서 '한국산 김'을 집어 먹는 모습./ 사진=카일리 제너 인스타그램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 카일리 제너가 개인 SNS 라이브 방송에서 '한국산 김'을 집어 먹는 모습./ 사진=카일리 제너 인스타그램
“이젠 김이 금(金)이에요” 김값이 뛰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 정보에 따르면 15일 마른김 1속(100장)의 중도매인 판매가는 1만400원으로 한 달 전 9362원에 비해 11.1% 상승했다. 전년 6618원 대비 57.1% 뛴 셈이다. 소매가로 따지면 10장 기준 1235원으로 전년 1005원보다 22.9% 올랐다.

업계에 따르면 김의 원재료인 원초의 가격상승과 수출량 급증이 ‘김플레이션(김+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김 원초는 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재배된다. 그러나 중국·일본에서 이상 기후와 적조 발생 등으로 작황이 부진해 한국산 김 수요가 급증했다.

또 김 스낵 등이 해외에서 인기를 얻게 돼 수요는 더 늘어만 가고 있다. 관세청에 의하면 마른김 수출량은 2020년 9808t에서 2021년 1만2395t, 2022년 1만3861t, 작년 1만6771t 등 상승세다. 지난해 수출액은 7억9100만 달러(약 1조300억원)로 1조원을 돌파했다.

우리나라가 김을 수출하는 국가는 120개국이다. 2010년 64개국이던 김 수출 대상 국가가 미국,동남아시아, 유럽 등으로 확대돼 12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들이 김 스낵과 김부각 등을 간식으로 즐겨먹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외국인들 사이에 김 유행은 더 빠르게 번졌다.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로 이름을 올린 카일리 제너도 딸과 함께 김을 간식으로 먹는 모습을 SNS에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서민 대표 음식’ 김밥 가격도 덩달아 상승했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김밥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5.90이다. 2020년 가격을 100으로 두었을 때 3년간 25% 올랐다. 해당 지수는 전년보다 8.6% 상승했다. 외식 품목 가운데 피자(11.2%), 햄버거(9.8%)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은 것이다.

일부 업체는 김 가격을 올리는 대신 중량을 줄이는 방식을 택했다. 동원 F&B는 ‘양반김’ 중량을 기존의 5g에서 4.5g으로 낮췄다. 한 조미김 업체는 한 봉에 10장 들어있던 김을 9장으로 줄였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