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논란 이어져
간호사로 의료 공백 메우려는 정부…원점에서 재검토하라는 의료계
정부는 진료보조 간호사들이 의사의 일부 진료업무를 수행하도록 역량을 높이겠단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날부터 대한간호협회와 협력해 교육 담당 간호사 대상 8시간 교육, PA 간호사 대상 24시간 교육을 시범실시한다. 교육 대상은 새로 배치될 예정인 PA 간호사, 경력 1년 미만의 PA 간호사, 그리고 이들의 교육 담당 간호사 등이다.
이후엔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수술, 외과, 내과, 응급·중증, 심혈관, 신장투석, 상처장루, 영양집중 등 8개 분야에 걸쳐 80시간(이론 48시간+실습 32시간)의 집중 교육을 한다.
‘응급실 뺑뺑이’ 논란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의료공백 사태가 각 사망 사례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판단할 순 없다. 그러나 의정 갈등 사태를 해결하지 못하는 시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커지는 중이다.
현장 점검 등을 통해 자세한 사망 원인을 더 따져봐야 하지만, 환자들 사이에선 ‘응급실 뺑뺑이’가 여러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실례로 지난달 31일 오후 4시 9분께 경남 김해 대동면에서 밭일을 하던 60대 A씨는 가슴에 통증을 느껴 119에 신고했다. 당시 소방당국은 근처 지역 병원 6곳에 약 10번 연락했지만, 의료진 부족 등을 이유로 거절당했다.
A씨는 당일 오후 5시 반쯤에 부산의 한 2차 병원으로 옮겨진 뒤 각종 검사를 거쳐 대동맥박리 진단을 받았다. 긴급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30분가량 알아본 끝에 그는 부산의 한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같은 날 오후 10시 수술 준비과정에서 숨졌다.
A씨의 딸은 “어머니가 빨리 수술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살았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으나 이번 의료 공백으로 인해 혹시 모를 생존 가능성을 저버린 것은 아닌지 원통할 뿐”이라고 전했다.
이번 달 11일에도 부산에 살던 50대가 대동맥박리 진단을 받은 뒤 병원 10곳 이상에서 거부당한 끝에 사망했다.
병원을 돌다가 숨진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달 충북 보은군에선 도랑에 빠진 33개월 아이가, 충북 충주시에선 전신주에 깔린 70대 여성이 병원을 돌다가 목숨을 잃게 됐다.
다만 대한응급학회는 이 같은 사례에 “흉부외과는 20년째 전공의 지원이 적은 탓에 전공의에게 의존하지 않은 지 꽤 됐다. 전공의 사직 사태와 아무 관계가 없다”며 ‘응급실 뺑뺑이’ 논란을 일축했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