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유럽 2024' 전시 부스.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유럽 2024' 전시 부스.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19∼21일(현지 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다양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제품을 선보인다.

유럽연합(EU)의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에너지가격 상승이 맞물려 ESS 수요가 증가하며 유럽의 ESS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유럽 ESS 시장의 60% 이상을 영국과 독일이 차지하고 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블룸버그NEF(BNEF)에 따르면 유럽 ESS 시장 규모는 2023년 13.7GWh에서 2030년까지 76.6GWh로 약 6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Beyond Batteries(배터리 그 이상의 고객가치)’를 주제로 주택용과 발전소·송배전망 등에 설치되는 전력망용 중대형 ESS 등 다양한 ESS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

핵심 제품으로 리튬인산철(LFP) 셀을 적용한 첫 주택용 ESS 제품 '엔블록(enblock) E', LFP 롱셀 기반 전력망 ESS 신제품 '뉴 모듈라이즈 솔루션(New Modularized Solutions)' 등을 소개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환경 규제도 선진화돼 잠재적 ESS 수요가 큰 시장”이라며 “인터배터리 유럽 2024를 통해 유럽 및 글로벌 ESS 시장을 선도할 핵심 전략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센터, IT 부서, 통신 시설 등 중요 시설에서 비상 전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한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 설루션도 선보인다.
19일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삼성SDI가 기존 SBB(Samsung Battery Box)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SBB 1.5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SDI
19일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삼성SDI가 기존 SBB(Samsung Battery Box)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SBB 1.5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SDI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용량과 안전성이 한층 더 강화된 신제품 삼성 배터리 박스(SBB) 1.5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SBB는 20피트 컨테이너 박스에 하이니켈 NCA 배터리 셀과 모듈, 랙 등을 설치한 제품으로 전력망에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올해 3월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4'에서 'ESS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SBB 1.5는 내부 공간 효율화를 통해 더 많은 양의 배터리를 적재해 총 5.26MWh 용량을 구현했으며, 컨테이너 단위 에너지밀도가 기존 제품 대비 37% 가량 향상됐다. 또한 4개의 컨테이너를 서로 맞닿게 설치 가능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기존에 적용한 직분사시스템의 열 전파 차단효과를 EDI(모듈내장형 직분사)기술을 통해 대폭 향상시켜 화재 예방 및 확산 방지 기능을 강화했다.

삼성SDI는 SBB 1.5와 함께 ESS 시장에 최적화된 미래 셀 라인업 전략도 공개했다. 2026년부터 전력용 ESS 제품에 들어갈 배터리 라인업에 LFP 배터리를 추가해 높은 에너지밀도의 NCA 배터리와 함께 '투트랙' 전략으로 ESS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UPS(무정전전원장치)용 고출력 셀 공급을 통해 AI 시대 가속화에 따른 데이터센터 증가 등 신규 수요에도 적극 대응한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초격차 기술경쟁력으로 구현한 SBB 신제품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 출시와 AI 시대 가속화에 따른 신규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함으로써 글로벌 ESS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 이라고 말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