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경기 졸전에 충격 먹었나” 국내 축구장 잔디 전수조사 및 개선 추진
최근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지역 예선전에서 홈경기 1승 3무, 원정경기 3승 1무라는 성적표를 받아든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지적해 온 국내 축구경기장 잔디 문제가 개선될 전망이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 따르면 최근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끼쳐 논란이 된 축구장의 잔디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프로축구연맹(이하 연맹)과 함께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축구장 총 27곳의 잔디 상태를 전수조사한다.

현재 문체부와 연맹은 연맹 내에 잔디관리 전담부서를 특별히 신설해 일본 등 선진사례 조사에 착수했다.
4월부터 K리그 경기장을 조사해 상반기 중 잔디 상태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경기장 별 맞춤형 개선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경기장의 특성과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해 노후화된 잔디 교체와 인조 잔디 품질 개선, 열선 및 배수시설 관리 등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또 장기적인 잔디 유지·관리 지침 마련과 현장 점검 강화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올해부터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지원 공모사업을 통해 지자체와 함께 축구장 잔디 교체 등 경기장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추후 전수조사 대상 경기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관계자는 “경기장의 잔디 상태는 선수들의 경기력뿐만 아니라 부상 방지, 팬들의 관람 만족도 등 경기의 전체적인 품질과도 직결된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장의 잔디 상태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연맹과 구단, 경기장 운영 주체 등과의 협력·소통을 강화해 지속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