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핵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뉴스를 선별해 전달합니다.

[한경ESG] ESG 뉴스 5
브로드 스트리트와 월 스트리트 교차로의 표지판이 2024년 9월 4일 뉴욕의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날리는 깃발 옆에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브로드 스트리트와 월 스트리트 교차로의 표지판이 2024년 9월 4일 뉴욕의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날리는 깃발 옆에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美 월가로 몰리는 '고탄소' 자산

유럽 금융권이 기후 리스크를 이유로 매각하는 고탄소 자산이 미국 월가로 흘러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은행들이 화석연료 투자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유럽 은행들이 기후 정책에 따라 처분하려는 고탄소 자산이 미국으로 이전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BNP파리바는 석탄·가스 등 고탄소 자산을 정리하고 있으며, 최근 몇 달간 해당 자산을 매입한 주요 투자자는 대부분 미국계 투자은행으로 알려졌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 전환이 단기적으로는 미국 에너지 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기후 리스크 확대에 따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공정한 은행 접근법(Fair Access Rule)’이 입법화될 경우, 미국 은행들이 특정 산업에 대한 투자 제한을 철회할 수밖에 없어 자산 이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법안은 정치적 이유로 특정 산업에 대한 투자 제한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바이든 행정부 당시 폐기되었으나 지난 2월 미 상원에서 재발의됐습니다.



프랑스 전력가격 -413유로…태양광 과잉 공급 ‘부작용’

프랑스 전력시장에서 이례적인 가격 역전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한낮 시간대 전력 가격이 MWh당 -413유로(1KWh 환산 시 약 -600원)까지 하락했습니다. 태양광 발전의 급증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전력 공급이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프랑스는 올해 4.8GW 규모의 신규 태양광 설비가 추가될 예정이며, 블룸버그NEF는 2035년까지 매년 관련 기록이 경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저장 인프라 부족으로 낮 시간대 전력 낭비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랑스 원전은 발전량을 최대 15GW까지 감축하며 수급 조절에 나섰습니다. 독일에 이어 프랑스까지 재생에너지로 인한 전력 가격 폭락 현상이 잦아지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스마트 그리드 및 ESS 산업에 대한 투자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EU, 차량 재활용 담합 적발…13개사에 7275억 과징금

EU 집행위원회는 1일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르노-닛산, 포드 등 주요 완성차 업체 13개사와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총 4억5800만 유로(약 727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차량 재활용과 관련한 정보 공유와 경쟁 회피를 담합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재활용률 홍보를 자제하고, 폐차 업체에 비용을 지급하지 않기로 공모한 점이 확인됐습니다. EU 측은 “소비자의 친환경 선택을 억제하는 담합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구 4도 더워지면 인류 자산 40% 감소
지구 평균기온이 4도 상승할 경우 전 세계 1인당 GDP가 약 40%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연구팀은 기존 통합평가모델(IAM)이 극단적인 기후 충격과 글로벌 공급망의 연쇄 붕괴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도 상승만으로도 1인당 GDP가 16%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도 제시됐습니다.

연구진은 “현재 경제 모델이 실제 물리적 피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탄소 감축에 대한 투자 필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만든다”고 밝혔습니다. 기후경제 모형이 정교해지면서 기업들도 전환 리스크 평가에 이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韓 권한대행,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 행사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1일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는 “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기업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법안은 국회로 되돌아가 재의결 절차를 밟게 됩니다. 여당과 정부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소액주주 보호 목적을 달성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한편 2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에 반발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승균 한경ESG 기자 cs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