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의 미래, 더 나은 상호작용과 생산성의 발견을 위하여

(출처=지앤에이컴퍼니)
(출처=지앤에이컴퍼니)
얼마 전까지만 해도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온 세상을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크고 작은 기업들이 너도나도 “우리는 메타버스 관련 사업을 한다”고 외쳤고, 투자자들도 열광했습니다. 국내 게임사들은 메타버스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잇달아 선보였고, 심지어 글로벌 IT 공룡인 페이스북(Facebook)은 아예 사명을 ‘메타(Meta)’로 바꿔버렸습니다.

그러나 메타버스란 개념은 아직 정의조차 모호했기에, 실제로 어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민하지 못한 채 “이것이 미래다!”라고 외치기만 했습니다. 그리고 그 열풍은 생각보다 빠르게 식어버렸습니다. 오늘날에는 “메타버스”라는 말을 꺼내면 대뜸 외면당하거나, 아예 문전박대를 당하기도 합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메타버스를 “가상 신대륙”에 비유했습니다. 구대륙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륙으로 떠났던 대항해 시대를 떠올리며, 가상세계에서도 마치 광활한 개척지가 있을 거라 기대했죠. 그런데 정작 메타버스 서비스들은 “현실 세계를 게임 세계로 그대로 옮긴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현실보다 특별히 나은 경험이나 생산성을 제시하지 못했기에, 사람들은 이내 흥미를 잃어버린 것입니다. 오히려 기존의 멀티 플레이 게임들이 더 탄탄하고 재미있었기 때문에, “메타버스는 재미없게 만든 게임에 불과하다”라는 비아냥도 따라붙었습니다.

사실 게이머들의 입장에서는 이미 오랜 시간 게임을 통해 ‘가상세계에서의 관계 맺기’와 ‘새로운 방식의 상호작용’을 경험해 왔습니다. 중요한 건, 그 가상세계가 현실보다 무엇을 더 잘할 수 있는가 입니다.
이것이 바로 “메타버스는 무엇을 더 잘해야 하는가”라는 질문과도 연결되는데, 게임이 발전해온 궤적을 살펴보면 답이 어느 정도 보입니다. 게임 개발자들은 끊임없이 “더 풍부한 상호작용”과 “더 큰 몰입감”, 그리고 나아가 “새로운 생산성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장(場)”을 만들어내려 애써 왔기 때문이죠.

어릴 적부터 저 역시 게임을 좋아했지만, 항상 마음 한편에 이런 의문이 있었습니다. “백화점을 자주 가면 VIP 고객으로 대접받는데, 게임을 많이 한다고 하면 왜 ‘폐인’ 취급을 받는 걸까”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생기면서 게임으로 성공하는 사람들도 생겨났지만, 아직까지도 다수의 게임 플레이어들은 그다지 긍정적인 시선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게임에 몰입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이 상당하고, 현실에서는 그 몰입이 ‘돈’이나 ‘직업’ 등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으니 그런 인식이 생긴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게임을 하는 행위 자체가 생산성을 가진다면 어떨까요? 게임을 하면서도 ‘무언가 가치 있는 것’을 창출해내고, 그것이 돈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메타버스가 ‘신대륙’이라 불리던 시절, 사람들이 꿈꾼 것도 이런 것이었을 겁니다. 과거 실제 신대륙(아메리카 대륙)에서 의미가 생겼던 이유는 “낡은 사상과 제한된 자원에서 벗어나, 새롭게 생산성과 자유를 찾을 수 있는 땅”이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메타버스도, 그리고 미래의 게임 세계도 “현실에서 누리지 못하는 자유로운 상상력과 상호작용, 그리고 거기서 탄생하는 새로운 가치”가 있어야만, 진정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겁니다.

그리고 게임은 이미 이 길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게임 안에서 유저들이 협동하고, 자율적으로 거래하며, 나아가 창작물까지 주고받는 경험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죠. 비탈릭 부테린이나 일론 머스크 같은 인물이 게임 속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발견했고, 그걸 현실로 가져와 큰 변화를 만들어낸 것처럼, 어쩌면 이 다음 세대에는 게임이 더 직접적으로 “현실의 생산성”과 연결되어 ‘게임을 하는 것’이 ‘가치 있는 행위’가 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결국, 이는 인간이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본능적 욕구와 맞닿아 있습니다. 컴퓨터 게임을 통해 우리는 점점 더 풍부한 상상력과 현실감을 얻게 되었고, 새로운 협업 방식과 가치 창출의 가능성을 엿보았습니다.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게임이 인간의 상상력을 확장하고, 사회 변화를 이끌며, 더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생산성’까지 열어줄 열쇠가 될 거라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게임의 발전이 곧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인류의 꿈과 맞닿아 있다는 말이 전혀 과장이 아닌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요?


최지웅 님은 1세대 게이머이자 연쇄 창업가, 앤젤투자자로 ‘지온 네트웍스’ 창업했다. 현재는 ‘게이머가 대우받는 게임 생태계’를 만들고자 플레이오(GNA Company)를 또 다시 창업해 대표로 활동 중이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