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전국 실시간 대기오염도 공개 홈페이지(www.airkorea.or.kr)에 따르면 올해 가장 입자의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일명 초미세먼지)인 PM 2.5(2.5㎛ 이하)에 대한 주의보가 4월 첫째 주까지 총 86회나 발령됐다. 이처럼 공기 질이 탁해지면서 공기청정기, 마스크 등 미세먼지 관련 제품들이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옥션’에 따르면 올해 4월 미세먼지 관련 상품 신장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일제히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마스크 151%, 코 마스크인 노스크 218%, 코 세정기 298%, 공기청정기 123%의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
휴대용 캔산소는 무려 467%나 매출이 늘었다. 주요 백화점에서도 미세먼지 관련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들의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관련 제품 매출이 지난해 대비 공기청정기 92%, 건조기 991.3%, 가습기 44.8%로 급증했다. 롯데백화점 역시 올해 공기청정기 매출이 전년 3~4월 대비 68%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올해는 특히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며 “프리미엄 공기청정기는 기능성 필터를 통해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를 걸러 주는 기능이 있어 가격대가 160만~260만 원을 오갈 정도로 비싸지만 인기가 좋다. 가족 건강을 생각하는 50~60대 중년 여성과 아이를 키우는 30~40대의 여성이 주요 고객이다”라고 설명했다.
공기청정기, 틈새 아이템에서 대세로
주부 이 모(57) 씨는 “예전에는 공기청정기를 사 놓고도 잘 사용하지 않았는데 요즘은 외부 활동을 하고 나면 목이 칼칼해져 꼭 틀어 놓게 됐다”며 “조만간 가족들 건강을 위해서 비싸더라도 기능이 향상된 프리미엄 공기청정기로 교체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최근 이 씨처럼 고가라도 가족의 건강을 위해 프리미엄 미세먼지 제품을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따라서 고가의 공기청정기, 가습기, 건조기 외에도 프리미엄 마스크와 코 마스크 관련 신상품들도 대거 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공기청정 기능과 가습 기능이 더해진 ‘블루스카이6000’을 내놓았고, LG전자는 원기둥 형태의 ‘LG퓨리케어360° 공기청정기’를 선보였다. 다이슨, 발뮤다, 블루에어 등 해외 프리미엄 가전제품 브랜드들도 감각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앞세운 공기청정기 제품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공기청정기 외에도 옷에 먼지를 제거해 주는 스타일러, 얼굴을 가리지 않는 필터 교체형 코 마스크와 이동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기도 등장하는 등 당분간 관련 시장 성장률은 꾸준히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최초로 필터 교체형 코 마스크를 개발한 에어랩 이효광 대표는 “2018년 중국의 마스크 시장은 1조 원으로 예상되며 예전에는 값 싼 보온용 마스크에서 현재는 고가여도 성능이 좋은 제품을 사는 것으로 소비 형태가 변하고 있다”며 “국내뿐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발전과 함께 관련 시장은 매해 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걱정 날릴 핫 아이템 3
다이슨 ‘퓨어 핫앤쿨 링크 공기청정 냉온풍기’

LG전자 ‘LG 슬림 스타일러’

에어랩 ‘노즈클린’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