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굴뚝 중국

2013년 상하이종합주가는 -6.8%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29%, 일본 닛케이 225 지수 56%에 비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지난해 7월 미니 경기부양책으로 주가가 연초 수준을 회복했지만 12월 통화 긴축으로 금리가 급등하면서 하락세로 마감했다.
[COVER STORY] 13억 내수 꿈틀…가전·인터넷 유망
시장에선 올해부터는 중장기 성장 지속을 위한 구조 개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성장률이 정책 목표 구간 7.0~7.5%에서 하한에 가까운 7% 초반을 예상하는 의견이 많다. 산업별로는 철강, 시멘트 등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반면 정보기술(IT), 의료 등 신산업 육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반적인 산업구조에 있어서도 이전의 노동집약형에서 자본집약형 산업으로, 투자와 수출주도형에서 내수주도형으로 바꾸는 작업이 병행될 것이기 때문에 산업과 기업 간에 부침이 많고 인수·합병(M&A)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저PER 매력에 10~15% 상승 기대
구조 개혁과 적정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있어서는 몇 가지 위험요인이 지적된다. 첫째, 2012년 하반기 이후 계속 오르고 있는 주택 가격이다. 주택 가격을 연소득으로 나눈 주택 구입 기간(年數)이 베이징 19.3년, 상하이 15.5년으로 도쿄나 싱가포르보다도 길어서 중국인들의 불만이 많다. 부동산 거래 제한이나 가격 한도 설정은 일시적 효과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통화 긴축이 불가피한데, 이는 금리 상승을 부추길 수 있어 부담 요인이다. 둘째,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이다. 작년 5~6월 한때 그림자금융을 규제하기도 했지만 단기 금리 급등, 신용경색 때문에 하반기엔 재차 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또 작년 하반기 경기지표가 좋아진 것도 이재상품(理財商品) 같은 그림자금융상품을 통해 자금을 공급한 것으로 나타나 개혁과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기가 만만치 않음을 보여줬다. 셋째는 지방 부채다. 우리의 감사원에 해당하는 중국 심계서(審計署)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지방 부채는 15조~18조 위안(약 3000조~3600조 원)으로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0~40%나 된다. 특히 그 절반인 8조~9조 위안 규모가 이재상품 등 그림자금융상품을 통해 조달되고 있어 그림자금융을 너무 빨리 줄인다든지 하면 지방정부의 디폴트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COVER STORY] 13억 내수 꿈틀…가전·인터넷 유망
이같은 환경에서 주식시장은 반등이 예상된다. 주식시장은 작년 좋지 않았던 데에 따른 반사효과도 있고 워낙 저주가수익비율(PER)인 데다, 작년보다 정책의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됐다는 점 등을 들어 10~15%의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의견이 많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실물경제 측면에선 성장률의 양적 변화는 별로 없기 때문에 비교적 중립적이라 본다. 그러나 증시의 젖줄이라 할 수 있는 유동성을 제어하는 통화금융정책 측면에선 꼭 긍정적이진 않다. 올해 중국의 통화금융정책은 부동산 가격 및 물가 상승 억제, 그림자금융 규제를 위해 경우에 따라선 긴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유동성 축소, 금리 상승이 기대되는 증시 부담 요인이기 때문이다. 작년 5~6월, 12월 중국 주가가 한때 급락한 것도 통화 긴축에 따른 금리 상승이 주요인이었다. 현재 중국은 GDP가 미국의 절반인데도 통화량은 이미 미국 수준이어서 정책당국은 통화를 계속 풀기보다 자금 거래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림자금융을 규제하는 대신 시장 기능을 살리기 위해 금리자유화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개혁과 구조조정 1등 수혜주는 소비재
둘째, 수급 측면에서는 플러스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대표적 마이너스 요인은 주식 공급 물량 확대 가능성이다. 작년 말 중국 증권감독위원회는 1년 이상 사실상 금지됐던 기업공개(IPO)의 재개를 결정했기 때문에 시장에선 올해 주식 공급이 대폭 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없지 않다. 실제 이것이 올해 초 중국 주가 급락의 주요인이 되기도 했다.

플러스 요인으로는 우선 IPO 재개 결정 전 작년 7월 12일에 이미 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QFII) 주식투자 한도를 800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대폭 늘린 점을 들 수 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5년 이상 하락세를 보인 중국 주식시장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 특히 이것이 중국의 개혁, 구조조정과 맞물려 경쟁력 제고와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낼 경우 장기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보는 투자자도 적지 않다. 또 중국의 PER가 연초 급락까지 겹쳐 현재 약 8배로 과거 추세 대비 워낙 낮을 뿐 아니라, 저평가됐다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10배보다도 저평가 매력을 갖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매수 잠재력이 상당하다는 점도 플러스 요인이라고 본다.

셋째, 업종 측면에서는 올해 증시는 개혁과 산업 구조조정, 신산업 육성 등과 맞물려 뜨는 기업군, 지는 기업군들의 명암이 엇갈릴 것이란 예상이 많다. 어떤 기업군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 개혁과 구조조정의 가장 큰 정책 수혜를 받을 분야는 소비다. 이제까지 중국은 13억 인구 중 자금 여유가 있는 3억 인구가 전체 소비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 10억 인구는 소비 대열에 끼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당국의 목표는 13억 전체 내수시장을 건설하는 것이고 또 이를 통해 제2의 성장 동력을 찾으려 하고 있다. 삼중전회의 내수 활성화 방안을 보면 기존 3억의 소비계층이 아닌 잠재소비인구와 잉여노동력의 소비 확대를 위해 도시화 투자 확대, 농지의 사유화, 사회안전망 확대, 온라인 소비 확대 등의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계층의 소비가 늘게 되면 이전의 럭셔리 사치품 소비 중심에서 필수소비재와 중저가 내구소비재, 대중성 있는 소비가 대폭 늘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가전, 인터넷, 게임산업 등에 관심을 둘 만하다.
[COVER STORY] 13억 내수 꿈틀…가전·인터넷 유망
또 의료 및 헬스케어산업도 긍정적이다. 빠른 고령화에 따른 시장 확대, 의료서비스 및 의료기기에 대한 정책 지원 등으로 연 25%의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 외에 미·중·일 간의 긴장 고조 및 방산제품 가격 체제 개혁 등의 혜택이 예상되는 방위산업, 최근 이슈가 돼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환경산업, IPO 재개로 수익 호전이 예상되는 증권업, 그리고 철강, 시멘트, 화학 등 공급과잉 산업의 구조조정 결과로 실적 향상이 예상되는 이들 업계의 선두업체군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시장에서 거론되는 대표 유망 종목으론 의료·헬스케어업체인 쿤밍제약회사(KPC), 종자개발업체 위안롱핑하이테크농업, 오수처리업체 사운드 환경자원(Sound Environmental Resources), 증권 종목으로는 중신증권(Citic) 등이다.

끝으로 기간적인 주가 흐름 측면에선 ‘상저하고(上低下高)’로 예상한다. 구조개혁의 첫 해이니만큼 상반기에는 많은 구조개혁 프로그램이 쏟아질 가능성이 많고 또 미뤄놨던 IPO 재개로 수급 측면에서 공급 우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반기로 가면 개혁과 성장 사이에서 적정 성장을 유지하려는 정책 노력,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중국 수출 개선, 외국인투자자의 투자 확대 등으로 주가 흐름에 긍정적 요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유신 한국벤처투자 대표 겸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