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우리나라는 유독 자연의 아름다움을 시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조선 시대 산수화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이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다.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이 어느 여름날 꿈속에서 무릉도원을 다녀온 후 그 감동을 잊지 못해 안견에게 꿈을 그림으로 남겨달라고 부탁한다. 안견은 사흘 후 <몽유도원도>를 완성했다(무릉도원은 중국의 시인 도연명의 글 <도화원기>에서 비롯된 말로 이 세상이 아닌 별천지를 뜻한다).
그림 왼쪽 평범한 산에서부터 시작하는 무릉도원은 중앙의 기암절벽을 지나 꼬불꼬불한 산길을 따라 걸으면 복숭아꽃이 만발하게 피어 있는 복숭아밭을 만나게 된다. 복숭아밭은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만났던 장면을 의미하는데 빨간색과 연분홍색으로 채색된 복숭아꽃을 휘어 감고 있는 안개는 현실의 세계가 아닌 이상향을 나타낸다.
안견은 이 작품에서 복숭아꽃을 많이 보여주기 위해 부감법을 사용했다. 정면에서 복숭아밭을 바라본다면 몇 개밖에 그릴 수 없지만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부감법을 사용하면 복숭아밭을 많이 보여줄 수 있어서다. 또한 안견은 무릉도원을 만나는 과정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그렸던 전통 방식에서 벗어나 왼쪽에서 시작해 오른쪽으로 이야기를 전개시켰다.
안평대군은 <몽유도원도>에 감동을 받아 3년 후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들과 예술가들에게 그림을 보여주며 시를 짓게 해 안평대군 자신을 비롯해 신숙주, 박팽년 등 22명의 글 23편을 실었다.
안견에 대해 자세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화원 출신으로 당시 도화원의 최고 벼슬인 종6품 선화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규정을 깨고 정4품 벼슬인 호군까지 지냈을 정도로 당대에도 천부적인 재능을 인정받았다. 안견은 장르를 가리지 않고 재능을 보였지만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다.
산수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와 달리 서양에서 풍경화의 역사는 짧다. 중세의 서양화에서 자연은 역사화나 초상화 등의 배경에 지나지 않았었다. 하지만 일부 계층에만 국한된 여행이 19세기 산업이 발달하면서 시민계층에게까지 확산된다. 그들이 그림의 소비계층으로 떠오르면서 여행 중에 보았던 풍경에 대한 욕구가 커져 갔다. 풍경화에 대한 수요가 늘기 시작하면서 화가들은 이상적인 풍경화에서 사실성이 가미된 풍경화를 그리게 된 것이다. 사실적 풍경화로서의 급진적인 전환점을 가져온 화가는 윌리엄 터너(William Turner·1775~1851)다. 터너는 1803년 첫 번째 유럽 여행 중 알프스의 풍경에 매료돼 대기 효과와 자연의 경이로움을 회화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다.
터너는 풍경을 연구하기 위해 수없이 많은 여행을 다녔으며 여행지에서 본 단 한 번뿐인 풍경, 즉 순간적으로 그 모습을 보이고 사라지는 풍경을 주로 묘사했다.
찰나의 아름다움을 그린 터너의 대표 작품이 <뭍으로 다가오는 요트>다. 터너는 바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그의 많은 작품 중 바다에 관련된 작품이 유난히 많은 편이다. 투명하고 순수한 빛의 효과를 하나의 정점까지 끌어 올린 이 작품에서 형체를 보이는 것은 요트의 돛과 어렴풋이 보이는 건물의 실루엣뿐이지만 화면 중앙을 밝게 비추는 태양과 소용돌이치는 구름은 정지된 화면에 활기를 불어 넣고 있다.
터너의 이 작품은 그의 말년 회화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지만 자신도 너무나 파격적이고 참신하다고 느꼈는지 큰 작품의 규모에도 불구하고 로열 아카데미에 출품을 보류했을 정도다.
19세기 들어와서 풍경화는 과학적인 연구에 의해 자연 현상에 따라 달라지는 자연을 그리기 시작한다. 오늘날까지 많은 화가들이 풍경화의 전형으로 여기는 사실적 풍경화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자연 현상에 따라 변하는 자연을 사실적으로 그려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작품이 클로드 모네(Claude Monet·1840~1926)의 <인상, 해돋이>다. 모네는 르아브르 항구의 아침 인상을 유연한 붓놀림과 투명한 색을 사용해 아침 햇살에 빛나는 항구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회색빛 색조 위로 반사되는 햇빛은 간결하고 대담한 오렌지 빛 붓놀림으로 표현했다. 그림에서 배와 돛대와 연통은 짙은 안개 때문에 흐릿하지만 부드러운 붓놀림으로 인해 그림이 정지돼 있지 않고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네는 이 작품을 제1회 인상주의 전시회에 출품했는데 그의 작품을 본 비평가 루이 르루아가 ‘르 샤리바리’지에 기고한 기사의 제목을 그림의 제목인 <인상, 해돋이>에서 따온 ‘인상주의 전시’라고 붙이고 비난을 퍼부었다. 처음 인상주의를 조롱하기 위해 이 기사에 쓰인 말이 그들을 대표하는 말이 된 것이다.
박희숙 _ 화가. 동덕여대 졸업. 저서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