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는 목요일인 추수감사절 다음날 일명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라고 불리는 날이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 1년 중 가장 싸게 물건을 살 수 있는 쇼핑 날이다. 한정된 시간이지만 잘 고르면 정말 믿을 수 없이 싼 가격으로 살 수 있는 물건들이 많아 전자제품 등 고가 제품을 파는 인기 매장들 앞에는 개장 전 이른 새벽부터 길게 줄이 늘어선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심할 때는 서로 먼저 들어가려다 사고가 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역사상 미국 경기가 가장 어려운 때 중 하나였던 2009년에는 필자 역시 필요가 없는데도 탐나는 가격의 물건들이 많아 충동구매를 하기도 하고, 주위 사람들이 구입한 물건들을 보며 참 싸게 샀다며 서로 감탄해 마지않으며 즐거워했던 기억이 있다.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입했을 때 느끼는 쾌감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해 생활에 소소한 행복을 주는 일임에 틀림없다. 2010년에도 비싼 물건의 구입 기회를 블랙 프라이데이까지 늦추고 기다렸는데 경기가 많이 풀린 건지 기대한 만큼 좋은 가격의 제품들이 많이 보이지 않아 아쉬운 마음이었다.

미국의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으로 인한 통화량 증가는 투자자들한테 나중에 물가가 폭등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을 안겨다 줬지만, 2010년 한 해 동안 경제지표는 물론이고 직접 쇼핑을 하면서의 느낌도 뚜렷한 인플레이션(inflation)의 조짐이 보이지 않아 현금자산의 재편성을 미루는 데 조바심이 나지는 않았었다.

그런데 새해가 되면서 갑작스레 여기저기서 물가 상승의 신호가 접수되고 있다. 물론 지난 한 해 동안의 선물가격 변화를 보면 대부분의 원자재, 농산물, 에너지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슈퍼마켓에서 쇼핑을 한 후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렇게 많이 나왔나 영수증 내용을 재차 확인하게 되고, 유가 상승은 2008년처럼 대중교통을 다시 고려해야 하는 상황으로 치닫는 것 같다.

한 가족의 외식비와 맞먹는 비용을 자동차에 매일 넣고 출퇴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다시금 도시락을 싸서 다니게 되고 이런 불안감은 경기 회복에 장애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물가에 관련된 경제지표 발표와 관계없이 피부로 느껴지는 물가는 본격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구리 36%, 콩 42%, 은 56% 상승 등 지난 한 해 동안 미국 내 소비자물가지수가 1.5%밖에 오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경기침체로 인해 유통과정에서 억제됐던 가격 상승이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되지 않기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 같다.

통화량이 급증하는 가운데도 금융권에서 자금이 풀리지 않아 지금까지는 물가 상승 압력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면, 최근 들어 보이기 시작한 물가 상승의 조짐은 통화량 증가로 인한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일어나는 상대적 상승뿐만이 아니라, ‘라니냐(La Nina) 현상’으로 인한 러시아의 가뭄과 오스트레일리아의 홍수 등 기상이변이 낳은 생산 차질로 인한 농산물,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는 점에서 쉽게 대응하기가 힘들 것 같다.

유로존도 이미 소폭이기는 하나 물가지수 상승률이 예상치를 넘어섰고 소위 ‘브릭스(BRICs)’라고 불리는 브라질, 인도, 중국, 러시아는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온차가 별로 없어 겨울에도 낮에는 반소매를 입고 다니는 이곳 로스앤젤레스(LA)에서도 집 안에서 발이 시려 양말을 신고 다녀야 하는 이례적인 날씨가 계속되며 체감 경기도 체감 기온도 모두 차가운 겨울을 지냈다.

파무침을 좋아하는 후배를 위해 채소류를 저렴하게 판매하는 한국 마켓에 들렀다가 예전보다 훨씬 비싸진 채소 가격이 익숙하지 않아 메뉴를 바꾸는 일도 있을 만큼 물가는 우리 생활에 조금씩 변화를 주고 있다.

투자자들은 실물가격 상승과 화폐가치 하락에 대비해 포트폴리오 방어 위주의 목적으로 원자재, 농산물 관련 업종 등을 관심 안에 두고 현금 보유고를 적절히 낮추기 시작해야 할 것 같다.
[Up-Front in US] 세계는 지금 ‘물가’와의 전쟁 중
김세주

베어스턴스(Bear Stearns) 투자 컨설턴트
찰스슈왑(Charles Schwab) LA 한인타운점 지점장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투자 컨설턴트
현재 엑셀랑스 애셋 매니지먼트 상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