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하반기 국내주식형 펀드 투자는 기존 대형주 위주의 펀드 못지않게 중소형주 펀드의 투자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금융위기 이후 2009년 상승세를 보였던 글로벌 자산 시장은 올 들어 그 상승세에 대한 확인을 받는 국면이 전개됐다. 즉, 펀더멘털이 회복되고 있는지, 유동성은 제대로 공급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확인 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이로 인해 2010년 상반기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하반기 글로벌 경제를 긍정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첫째, 유럽 국가 디폴트 우려가 해소되고 둘째, 중국 부동산 경기가 연착륙하고 셋째, 미국 고용이 지속적으로 회복되는 그림이 나와 줘야 한다.

세 가지 조건 중 심각하게 훼손된 조건은 아직 없지만, 그렇다고 긍정적 확신을 줄 만한 조건도 아직은 없다. 유럽은 재정 부담으로 공격적 재정 지출을 유지하기 어려워졌고, 중국은 부동산 과열 억제를 위해 다양한 긴축 수단을 도입하고 있으며, 미국은 고용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그러나 꼭 나쁘게만 볼 필요는 없다. 첫째, 유럽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채무불이행이 실제로 벌어졌을 때 시장이 이를 감당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고려 때문이다.

둘째,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이미 연착륙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지급준비율 인상과 부동산 긴축 정책이 이를 반증한다. 한편, 중국 경제는 여전히 견실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쉽사리 시장을 꺾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고용이 다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쉽게 해소되지 않겠지만, 원래 미국 고용지표의 월별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한두 달 수치로 그 추세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2010년 4분기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시점에서 한국 시장만의 매력도 부각될 수 있다. 특히 밸류에이션 매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현재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은 8.6배로 2005년 이후 절대 저평가 영역에 진입한 상황이다.

하반기로 진입할수록 실적에 대한 기대와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속도조절 구간을 국내 주식형 펀드의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How to Invest in 2nd half of 2010] 환 리스크 우려 대두 해외주식형 ‘주의’
하반기 국내주식형 펀드 투자는 기존 대형주 위주의 펀드 못지않게 중소형주 펀드의 투자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010년 하반기에는 과거 중소형주가 초과 수익을 보였던 시기의 시장 상황과 비교해 볼 때 중소형주의 초과 수익이 기대되는데, 유동성 재유입에 따른 수급 개선 효과, 주식시장의 매력도 상승 및 양호한 매크로(macro) 상황, 중소형주의 밸류에이션 재평가 때문이다.

2005년, 2007년 종목장 시기의 주도 업종을 살펴보면 두 시기 모두 강세를 보였던 업종은 기계, 운수장비, 건설, 보험, 증권 등이다.

2010년 하반기 종목장 시현 시 예상 주도 업종은 IT, 설비투자 관련주와 과거 종목장 시기에 돋보였던 기계 업종에서 교집합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는 중소형주 펀드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반면, 해외주식형 펀드의 비중은 소폭 축소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첫째, 환율이다. 글로벌 금융 시스템 불안정으로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상당히 높고, 해외주식형 펀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머징마켓의 위험도 한층 높아진 상황이다.

둘째, 해외주식형 펀드의 비과세 혜택 종료다. 2010년을 끝으로 기존에 가입한 해외 펀드의 비과세 혜택마저 일몰될 전망이므로, 같은 수익률을 기록하더라도 해외주식형 펀드가 국내주식형 펀드보다 이익금의 15.4%를 손해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올해 하반기부터는 해외주식형 펀드의 비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올 하반기에는 채권형 펀드의 투자도 유망하다. 앞서 말했듯이 글로벌 경제지표는 속도는 둔화됐지만, 여전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부각된 유럽의 재정위기가 출구전략의 시행 시기를 저울질하던 국가들을 다시 망설이게 만들었다.

특히, 그리스의 문제는 내부에서 재정적자 조절 등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채권국들이 직접적인 채무 조정에 나서지 않는 한 자생적인 문제 해결이 불가능한 상태다.

2010년 하반기부터는 재정적자 축소를 위한 정부 지출 감소로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위기에 빠진 국가들의 채무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출구전략에 대한 논의는 또다시 뒤로 미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채권 시장은 다시금 레벨 업된 환율로 인해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지면서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풍부한 유동성과 글로벌 출구전략 지연 기대감으로 지속적인 강세가 예상되므로, 하반기 채권형 펀드의 강세는 지속될 것이다.

안정균 SK증권 펀드 애널리스트 jkahn@sk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