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어떤 의미에서 다이내믹해서 좋은 때도 많지만 가끔은 변동도 잦고 그 폭도 커서 걱정스럽다. 대표적 예가 외환 시장에서의 원화환율이다. 원화 강세로 환율이 계속 떨어지다가도, 때에 따라서는 약세로 돌아서 대책 없이 상승하기도 한다.

급등락하는 환율은 정부와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심할 경우 국가 위기를 염려하게 만든다. 모라토리엄을 걱정해야 했던 IMF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 상황에서 한국은 환율 급등을 경험해야 했다.

왜 이처럼 한국은 환율의 변동 폭이 클까. 가장 큰 이유는 환율이 금리나 주가 등 다른 가격 변수와 달리 달러당 원화환율처럼 상대적인 가치여서 변수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는 환율을 결정하는 실물과 금융시장의 외환 수급에 있어 구조적 문제다. 간단히 살펴보자. 실물부문에서 수출이 잘 되면 외화가 많이 들어온다. 원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원화 강세 압력이 더욱 커지는 것이다.

반면 수출보다 수입이 많으면 실물부문에서 원화 순매도가 늘어 원화가 약세로 돌아선다. 이때는 기업의 실적이 나빠져 외국인 주식 매수도 줄고 경우에 따라서는 순매도 압력이 거세져 원화 약세를 부채질하는 요인이 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데다 수출 의존도가 높아 경제가 좋을 때는 원화가 지나치게 강세로 돌변하고, 경제가 나쁠 때는 극심한 약세로 가기 쉬운 경제구조를 갖고 있다. 한마디로 선순환과 악순환이 극명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원화가치가 지나치게 높으면 서둘러 해외 투자를 유도하거나 자녀의 해외 학자금 한도를 늘려주었다가, 약세가 되면 해외 펀드를 줄이고 외국인의 자금 유치를 고민해야 하는 기로에 서게 된다. 결국 정책적인 선택이 몹시 어려운 구조라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그렇다고 소규모 개방경제를 갑자기 다른 체제로 바꿀 수도 없다.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는 위험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결코 나쁜 경제구조가 아니다. 다만 변동이 심한 외환 시장 구조와 환율 흐름을 컨트롤하거나 안정화시킬 수 있는 툴을 좀 더 생각해 볼 필요는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물부문의 외환 수급을 좀 더 면밀히 살피고 금융부문의 외환 수급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외환 시장의 구조와 거래가 취약한 이유를 찾아 활성화시키면 점차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우선 은행과 같이 기업 외화대출과 무역금융을 담당하고 있는 금융기관들이 소위 외화표시 자산부채관리(ALM)를 자율적으로 좀 더 꼼꼼히 챙기는 한편, 정부 차원에서는 IMF와 2008년 금융위기의 진원지 또는 전달 경로로서 은행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에 입각해 외화유동성 비율과 리스크 기준, 외화자산 한도규제 도입 등 외환건전성을 제고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선물환 모니터링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외환 시장의 취약한 수급구조 및 거래 부진에 대한 대책으로는 금융부문의 외환불균형, 다시 말해 지나치게 주식시장에 치우쳐 있는 외환 수급을 채권 등으로 확대해 주식, 채권 및 다른 금융상품의 외화 수급으로 상품 및 만기를 다양화시켜야 한다.

더불어 외환시세의 불규칙적인 변동을 감안해 선물환 시장 참가자의 다양화 및 투명성 제고에 노력한다면 외환 시장의 구조도 점차 균형을 잡아갈 것이다.


[CEO칼럼] 외환 시장의 불안과 자본 시장의 활용
정유신


한국 스탠다드차타드증권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