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현 작가,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 한정현 지음, 문학과지성사, 2022년 2월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 한정현 지음, 문학과지성사, 2022년 2월
[한경 머니 기고 = 윤서윤 독서활동가] 한정현 작가의 소설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는 소수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수자들이 과거를 어떻게 묻고 살아가는지, 그들을 연결해주는 끈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몇 년 전,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토론 수업을 진행했다. 일주일에 한 번, 도서관에서 해설 영화를 보고 그들의 생각을 나누는 자리였다. 그들은 토론을 하면서도 끝날 시간에 맞춰 택시를 부르는 게 더 시급해 보였다. 근처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용 택시를 잡으려면 최소 20분에서 2시간 넘게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그들은 택시를 예약할 때 가장 예민했다. 그들은 2시간 토론을 하고자 하루를 기다림과 길에서 보내야 했다.

이런 경험 때문인지 장애인 지하철 시위를 관심 있게 본다. 한두 번 퇴근시간이 겹쳐 지하철에 갇혀 있었지만 남들이 말하는 불편함은 느끼지 못했다. 그들이 출퇴근 시간에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일이 있었을까. 이렇게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는다는 건 불변의 법칙인가 보다.

소설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도 소수자들에 관한 이야기다. 추리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소수자들이 과거를 어떻게 묻고 살아가고 있는지, 그들을 연결해주는 끈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한정현 작가는 201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줄리아나 도쿄>와 소설집 <소녀 연예인 이보나>에 이은 두 번째 장편이다.

이전 작품에서도 보여주었듯 작가는 세상에서 지워져야 했던 이들의 목소리를 이야기로 엮어 독자에게 전한다. 주인공 설영에게 왓슨이라 부르고, 이에 따라 설영은 사라진 지연을 셜록이라 부른다. 인터섹스 수술을 받고 두 번째 수술을 받기로 한 날, 셜록은 사라졌다. 설영은 당시 8개월간의 기억이 사라진 상태다. 그렇게 도쿄의 지방 대학 강사로 지내던 어느 날 셜록에게 이메일 한 통을 받는다.

“죽은 아버지. 아니 죽은 마녀. 특기는 죽은 척하기. 이름은 간바테인. 얼굴은 여러 개. 요리는 젬병이. 장소는 화산 아래서. 우리의 언어는 마운트 아날로그. 기다리는 것은 도둑신부와 원본 없는 세상. 그리고, 죽은 자들의 백과전서.
1948년, 1963년, 다시 2016년, 2017년.”(27쪽)


암호가 가득한 명사로 나열돼 있는 이메일을 보고 설영은 셜록을 수술했던 의사 구연정을 찾아간다. 연정에게는 퀴어이자 집단 성폭행 피해자였던, 마음으로 키운 딸이 있었다. 미용 성형보다 젠더 수술, 복원 수술을 더 하고 싶었던 연정은 자신의 환자를 마주할 때마다 도영을 떠올리곤 한다.

지연은 연정의 첫 환자였다. 지연이 마릴린 먼로 사진을 연정에게 보여주자 “내가 신이라도 할 수 없다”고 말하곤 미안해한다. 지연이 꺼낸 마릴린 먼로는 평생 아름답다고 추앙받다가, 거부하면 부숴버릴 듯 달려드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여자의 이미지였다.

소설은 사라진 셜록을 찾는 과정이지만 왓슨들(연정과 설영)이 사회에서 지워진 이들의 목소리를 주고받은 기록이기도 하다. 설영은 셜록과 함께 연구했던 논문 ‘배제된 여성 문학, 빨치산 여성 문학’ 취재차 일본으로 건너갔다. 빨치산과 생활했던 할머니 김춘희가 빨치산과 남한 경찰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놔두고 일본으로 떠나야 했던 이야기부터 작업반장에게 밀린 급여를 달라고 했다가 성추행을 당해 나오는 길에 차에 치여 돌아가신 자신의 할머니, 일본 사격 국가대표 선수였으나 선수촌 내 성추행으로 인해 퇴직 후 사격장을 운영하는 메이, 기억을 잃어버린 후 도쿄에서 동거한 게이 신바, 연정이 마음으로 키운 딸이자 집단 성폭행의 피해자인 자살한 도영의 이야기까지 약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들이 어떻게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를 담아낸다.

추리소설과 같은 혜안은 찾기 어렵다. 그저 주류의 기록 틈에서 약자를 찾아내며 그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 그것이 이 소설의 성취였다. 원본을 없애는 성형을 하면서도 ‘원본’이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생각하는 연정의 마음과 사람들이 추앙하는 마릴린 먼로의 모습에서 또 다른 폭력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 그들이 버틸 수 있는 건 사랑하는 사람과 마음을 나누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작가는 말한다.

“나, 가끔 우리의 삶이 추리소설에서 탐정이 하는 가장 긴 추리 같아. 진실이 쉽게 밝혀지지 않아서 절망도 하고 실망도 많이 하지만 포기하지 않으면 그 끝엔 답도 있고 진실도 있고 보고 싶은 사람도 있는…. 설사 그게 세상이 정한 답하고는 다를지라도 말이야. 그러니까 우리, 서로에게 그런 일이 일어나도 살아내자. 살아내서 저기 인간의 시간을 벗어난 세상에서 만나서 말하자.”(360쪽)

그동안 약자들은 끊임없이 세상에 말을 걸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다만 주류가 아니기에 승자에 끼어들 수가 없어서 지속적으로 배제돼 왔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는 ‘나’로서 살고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한다.

함께 즐길 만한 콘텐츠
소수자의 가려진 목소리를 듣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의 작품. 목소리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가 전쟁에 참전했거나 전쟁을 목격한 200여 명의 여인들을 만나 그들의 처절하고 가슴 아픈 사연들, 그들의 고통에 귀 기울였다. 다년간 인터뷰해 온 이야기들을 모아 남자들이 우리에게 하지 않은 전쟁 이야기, 전쟁의 민낯, 죽음에 대한 참을 수 없는 혐오와 두려움, 전쟁 이후의 삶을 200여 명의 생생한 목소리로 가감 없이 들려준다.
소수자의 가려진 목소리를 듣다
<나무 도장>
작가 권윤덕
학살의 현장에서 살아남은 한 소녀의 이야기를 통해 ‘제주4·3사건’의 슬픈 역사를 간결한 글과 한 편의 영화 같은 그림으로 마주한다.
사진=창비
사진=창비
<세상에 없는 나의 기억들>
작가 리베카 솔닛
작가 리베카 솔닛이 작가가 되고자 걸어 왔던 길을 담는다. 침묵하기를 바라는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갖기 위해 분투했어야 하는 시간들. 여성운동가 솔닛의 회고록이다.

글 윤서윤 독서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