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시장은 13세기 이탈리아의 도시국가였던 베네치아 정부에서 처음 탄생했다. 이때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장기 채권을 발행한 것이 채권 역사의 시작이었다. 채권은 시장 이벤트에 영향을 받는 주식과는 달리 거시적인 경제 흐름과 업종 변화 등 매크로 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최근엔 금리인상기에 선호도가 높은 투자자산으로 떠오르고 있다.
[Special] 금리인상기에 ‘황금알’ 낳는 채권 투자 톺아보기
#1. 최근 주식 투자에서 큰 재미를 보지 못했던 이 모 씨(40대)는 금리상승기로 접어들자 은행 적금을 알아보다가 증권사를 통해 3년물 국채를 매수하기로 했다. 3년물 국채의 특성상 안정적이면서 회사채보다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점 때문이다. 가격 변동 위험이 적고 예금처럼 만기에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 외에 3%대의 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투자 매력이 크다고 판단했다. 김 씨는 금리상승기에 채권 가격이 더 떨어지면 추가 매수를 할 작정이다.

#2. 김 모 씨(30대)는 온라인에서 K증권사를 통해 우량 회사채를 매입하기로 했다. 신용등급 더블 A(AA) 이상의 우량 회사채는 부도 위험도 낮고 4~5%의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는 점 때문이다. 우량 회사채는 채권 매수와 동시에 만기까지 확정된 이자와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이라고 판단했다.



기관이나 자산가들의 전유물로 인식되던 채권 상품이 최근 소액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올해 들어 개인은 역대급 규모로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이달까지 9조6000억 원 규모의 채권을 순매수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월별 기준으로도 채권 매수 규모는 올해 1월부터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4월에는 순매수 규모가 1조 원을 훌쩍 넘어섰다.
[Special] 금리인상기에 ‘황금알’ 낳는 채권 투자 톺아보기
예금·주식 대신 채권에 몰리는 투자자…안정성 부각

증권사들이 채권 투자 접근성을 높인 것도 일반 투자자의 채권 투자 확대로 나타났다. 주식처럼 모바일로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소액 채권 투자가 대표적이다. 금리인상기에 신규로 발행되는 채권은 높은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KB증권은 개인투자자의 접근이 어려운 국채를 1000원 단위의 소액으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며 자금이 몰리고 있다. 기존에 국채는 장내에서 10억 단위로 거래가 되기 때문에 개인투자자의 접근이 어려웠다. KB증권은 9월 말까지 온라인으로 채권을 100만 원 이상 매수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 7월 중순엔 삼성증권이 모바일 앱을 통해 연 4%대 특판 채권 상품을 300억 원 한도로 선착순 판매했는데 27분 만에 완판됐다. 한국투자증권도 연 4%대 우량 회사채를 매각 개시한 지 1분 만에 전체 물량이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다.

이처럼 채권 상품이 인기를 끄는 배경에는 은행 수신금리보다 높으면서 안정적이라는 장점 때문이다. 채권금리가 크게 상승하면서 투자 매력이 높아졌고, 예·적금 대비 적은 세금으로 실질적인 이자소득이 더 커졌다.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채 3년물 채권금리가 3%대를 기록하고 우량 회사채도 4~5%대의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김재은 KB증권 WM투자전략 부장은 “과거에는 채권이 부자들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엔 투자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온라인을 통해 소액 채권을 매매하는 고객들이 많아졌다”며 “만기 1~2년의 4%대 단기 채권 상품들이 특히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저금리가 장기화됐던 제로금리 시대엔 1%대 금리로 주목받지 못했던 채권 금리가 최근엔 은행 수신금리보다 높은 3~5%대 금리를 제공하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 것이다. 채권은 발행 주체가 디폴트 되지 않는다는 조건만 충족하면 매수와 동시에 확정 이자와 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또한 금리가 올라갈수록 채권가격은 하락하기 때문에 금리상승기에 더 싼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Special] 금리인상기에 ‘황금알’ 낳는 채권 투자 톺아보기
채권 상품, 신용등급·부도리스크 확인해야

증권사들이 취급하는 상품 가운데 고객들이 주목하는 상품들은 연 3~4%대의 투자등급의 단기 우량 회사와 단기 금융채 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1%대 낮은 표면 이율로 절세효과가 높거나 AA등급 이상의 우량 채권, 세전 4%대 채권 상품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금융채에 대한 개인들의 채권 투자는 은행채보다는 카드나 캐피털채 위주로 이뤄졌다. 특히 금리 수준이 높은 카드채에 많이 투자했다. 은행채는 높은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금리 수준으로 투자규모가 저조했다. 은행채 중에는 농협은행채에 대한 투자가 많았다.

개인들이 여전채(여신전문금융회사채)를 투자할때 카드채를 선호하는 이유는 신용등급이 높고 채무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고채의 경우 개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만기는 3년물에 이어 20년물, 10년물, 5년물, 30년물 순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채 중에는 한전채 투자가 인기를 끌었다. 올해 한국전력공사의 대규모 적자에 따른 한전채 발행이 급증하면서 발행 금리가 회사채 수준으로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반 회사채 투자는 AA 등급 회사채 투자 규모가 크게 늘었다. 과거 AA 등급 회사채는 높은 신용등급으로 인한 투자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A 등급 대비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아 개인들의 투자가 많지 않았지만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서 투자규모가 늘어난 것이다.

김지만 삼성증권 수석 연구위원은 "개인들이 선호하는 채권은 절세효과와 관련이 있는 표면금리가 낮게 발행된 채권"이라며 "이자소득세 부과는 시장 수익률이 표면금리에 따라 과세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장금리 상승으로 인해 채권가격이 떨어져 채권가격이 매력적인 구간이지만 추가 금리 인상에 따른 채권 가격 하락 리스크를 고려해 장기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채권은 발행 회사가 원리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발행 회사의 신용등급을 체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증권사 채권본부 관계자는 “올 연말까지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므로 섣부르게 바닥을 예상하고 매수하는 것은 금물”이라며 “단기 투자 시에 가격 하락이 큰 우량 회사채와 유동성 및 안정성이 높은 국고채를 분류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pecial] 금리인상기에 ‘황금알’ 낳는 채권 투자 톺아보기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