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 story] 금융위기 '경고음'…진앙지는 어디일까
#2008년 9월 15일 미국의 5대 투자은행(IB) 중 하나인 리먼브라더스가 파산보호신청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융 시장은 곧바로 패닉 상태에 빠졌다. 이는 전 세계에 공포를 불러온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시켰다. 2008년부터 글로벌 경제 전반을 휩쓸었던 금융위기의 단초가 됐던 사건은 다름 아닌 2007년 유럽계 은행의 파생상품 손실 이슈였다. 당시 이 은행은 미국의 비우량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을 바탕으로 한 파생상품으로 크게 손실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당시엔 이 사태가 금융위기로 번질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이때 전문가들은 손실 규모에 대해 심각하지 않다며 낙관적인 전망을 견지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버판을 받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와 다르지만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위기의 전조증상 같습니다.”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해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지만 금융위기의 전이 속도는 과거보다 빨라지고 범위는 갈수록 광범위해질 조짐이다. 글로벌 경제가 긴밀하게 연계돼 있지만 국가 간 블록화가 심화되면서 위기가 닥쳤을 때 쉽게 해소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위기는 과연 어디서부터 시작될까. 경제 상식을 뒤집는 여러 위기 현상 속에서 진앙지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

환율 위기 우려...외환보유액 안전판 절실
금융위기의 전조증상으로 환율문제가 가장 큰 우려요인으로 지목된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돌파하자 제2의 금융위기가 터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지난 1997년 12월 IMF 외환위기가 터질 때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해 2000원을 육박했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또 한 번 1400원을 훌쩍 넘어선 데 이어 올해 원·달러 환율이 13년 6개월 만에 1400원을 재돌파하면서다.

한국은행은 10월 빅스텝으로 금리를 올리며 환율 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는 여전히 미미하다. 통상 금리를 올리면 시차를 두고 원화 가치가 상승해야 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달러 강세 기조가 유지되고 있어서다.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자 외환당국은 국내 외환보유액을 긴급 점검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67억7000만 달러로 전월 말 대비 196억6000만 달러가 감소했다.

한은 측은 “이번 외환보유액 감소는 외환 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와 기타 통화 외화 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 감소,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에 기인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안정화에 주력하지만 시장의 불안감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외환보유액 규모가 충분하다고 맹신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올 연말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게 되면 대규모의 달러 유출이 불가피해지면서 외환보유액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순현 SC제일은행 투자전략상품부장은 “외환위기 당시에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부채 비율은 600%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부채 대비 40% 정도라 위험단계는 아니다”라며 “다만 환율이 올라서 달러 보유액이 고갈된다면 다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경상수지 적자 고착화 우려...비상등 켜진 수출
환율 급등을 야기하는 또 다른 원인으로 경상수지 적자가 지목되면서 한국 경제 위기설이 다시금 불거지고 있다. 실물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경상수지 적자는 외화 수급에 영향을 미쳐 가뜩이나 상승세를 보이는 원·달러 환율을 올리면서 최근 불거진 ‘한국 경제 위기설’ 확산에 불을 지피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2022년 10월호)에 따르면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5조3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의 적자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조1000억 원이 커졌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서 재정수지는 2019년 이후 올해까지 4년 연속 적자를 지속했다.

재정수지 적자에 이어 8월 경상수지는 4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하면서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쌍둥이 적자를 걱정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 3고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시장과 대중 수출 감소세도 국내 경제위기의 뇌관으로 지목된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차환 문제가 연이어 발생할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에 미칠 악재에 주목해야 한다”며 “금리가 급등하면서 가계나 자영업자들도 버티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경상수지가 연간으로는 흑자를 기록했다며 위기설을 다시금 잠재우려고 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한은도 8월 경상수지 적자 전환은 무역수지 적자의 영향에 따른 일시적인 것으로, 9월 들어 무역적자가 크게 축소된 만큼 경상수지는 다시 흑자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며 위기설을 진화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에서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2.9%에서 2.7%로 낮춘 데 이어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2.1%에서 2.0%로 낮췄다.
[big story] 금융위기 '경고음'…진앙지는 어디일까
위기설의 진앙지 주목..."위기 대응 시급하다"
정부가 위기설을 잇따라 잠재우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위기의 전조증상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지속됐던 저금리가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곳곳에서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도 시중에 풀린 유동성으로 주식 시장이 급등하고 부동산 가격이 뛰었다가 긴축으로 돌아서자 거품이 급격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초래했다.

이 같은 역사적 되풀이가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무엇보다 금융위기가 과거 전 세계로 확산됐던 만큼 이번에도 같은 위기가 되풀이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근엔 레고렌드 사태로 인해 채권시장의 자금경색 문제가 불거지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회사채시장과 단기 금융시장의 불안심리 확산과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면서 긴급 진화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국가들 가운데 위기의 진앙지가 될 곳을 예의주시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재 가장 위기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유럽, 중국, 신흥국 등이 지목되고 있다. 국내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2곳으로 유럽과 중국이 진앙지가 될 것이라는 것도 우려 요인이다.

유럽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급등 문제로 속을 썩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미국이 아닌 유럽발 위기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목한다.

변정규 미즈호은행 전무는 “달러인덱스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 달러인덱스 가중치의 57%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 아닌 유로화”라며 “유럽의 경제 상황에 따라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럽 외에 리스크가 큰 국가로 중국이 지목된다. 중국은 시진핑 3기 출범을 맞았지만 부동산 시장을 비롯해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신흥국들의 디폴트 선언 가능성도 위기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금융위기 전이 속도과 과거보다 빨라지고 범위는 갈수록 광범위해질 수 있다는 것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의 블록화가 가속화되면서 각자도생 분위기로 이어지고 있어 위기에 대한 대응도 자연히 늦춰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국가들이 팬데믹발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가운데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면하고 있는 것도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각국에서 고물가에 대응해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지만 정책 효과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 지원, 가계 부담을 위한 세제 혜택, 취약계층 현금 지급 등을 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위기가 한 국가에 머물지 않고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경제가 긴밀하게 연계돼 있어서 정책 공조가 이뤄지지 않으면 위기에 대한 대응도 자연히 늦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