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팝 본고장 '미국'도 반했다...K팝 음반 수출 역대 최고치
올해 상반기 K팝 음반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음반 수출액은 1억3293만4000달러(약 1685억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17.1% 늘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방탄소년단_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콘서트 BTS Yet To Come in BUSAN 모습. 한경DB]수출 대상국별로는 일본이 4852만3000달러(약 615억원)로 1위를 차지했고, 미국 2551만9000달러(약 323억원)과 중국2264만달러(약 287억원)이 2위와 3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독일, 대만, 홍콩,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프랑스 순이었다.특히 세계 최대 음악 시장인 미국이 중국을 제치고 K팝 음반 수출 대상국 2위를 차지한 것도 눈에 띄는 점이다. 중국은 2020년 한 해를 제외하고 2012년부터 줄곧 일본에 이어 K팝 수출 대상국 2위 자리를 지켜왔다. 그만큼 올해를 기점으로 K팝이 세계 최고의 음반시장인 미국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또한, 올해 상반기에는 K팝 대표주자로 꼽히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완전체 활동이 부재했음에도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는 점도 그 의미가 크다.미국 음악 산업 분석업체 루미네이트가 지난 12일(현지시간) 발표한 2023년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음원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상위 1만 곡의 언어 비중은 영어(88.3%), 스페인어(7.9%), 한국어(0.9%) 순이었다.
2023.07.18 17:21:13
-
이구용 KL매니지먼트 대표 “K-문학의 부상, 단순히 지나는 바람 아냐”
드라마는 물론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등등 K-콘텐츠가 전 세계를 무대로 빛을 발하고 있다. 그중 ‘K-문학’은 K-콘텐츠의 정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터. 그 고유의 가치를 이미 26년 전 꿰뚫어본 사람이 있다. 바로, 이구용 KL매니지먼트 대표다. 그가 말하는 K-문학의 힘과 인기 비결, 미래 성장성에 대해 두루두루 이야길 나눠봤다.김영하, 신경숙, 한강, 편혜영, 이정명, 황선미, 정유정 등등. 국내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뒤엔 늘 이구용 KL매니지먼트 대표가 함께했다. 2005년 한국 문학 첫 해외 수출 사례(영미권 기준)인 김영하 작가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를 비롯해 2011년 한국 작가로는 최초로 맨아시아 문학상을 수상하고, 미국 시사지 뉴욕타임스의 베스트셀러에 오른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 2016년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맨부커상을 받은 한강의 <채식주의자> 모두 그의 손을 거쳐 세상에 알려졌다.이 대표는 한국 문학이 사실상 해외에서 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던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혈혈단신으로 한국 문학 알리기에 뛰어들었다. 과정은 더디고, 험준했다. ‘맨땅의 헤딩’이라는 표현이 꼭 맞을 정도로 해외 출판의 문턱은 높고, 냉혹했다. 실제로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가 해외에서 정식 출판되기까지만 꼬박 7년이 걸렸고, 2005년에서 2010년까지 그가 해외 출판사에서 국내 서적 출간을 성사시킨 건 한 해 1~2건에 그쳤다고 한다.영리적 목적만 가지고 이 일을 이끌었다면 결코 견딜 수 없는 시간이었을 터. 하지만 그는 26년 넘게 이 일을 고수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했다. 누구보다 한글과 한국의 문학,
2021.11.26 09:00:01
-
[special]新한류 이끌 K-패션 비즈니스의 힘
바야흐로 ‘K 프리미엄’ 시대다. 드라마, 영화, 음악, 게임, 음식, 정보기술(IT) 디바이스, 공공서비스 등등 ‘메이드 인 코리아’의 위용이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 최근 K-패션의 저력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실력과 개성을 겸비한 폭넓은 디자이너 인재 풀과 탄탄하고, 편리한 유통망, 전 세계에서 가장 까다롭고 트렌디한 소비자로 꼽히는 한국인들의 감각적인 패션 취향이 맞물리면서 K-패션의 시너지를 내고 있다. 미래 한류의 주역으로 대두되고 있는 K-패션의 현주소와 미래, 그리고 한계점 등에 대해 국내 패션 비즈니스의 거장 2인을 만나 그 내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글 김수정 기자 | 사진 김기남 기자김수정 기자 hohokim@hankyung.com
2021.10.26 07:00:03
-
글로벌 시장서 성공하는 K콘텐츠의 공통점…'웹툰'을 주목하라
[화제의 리포트] 이번 호 화제의 리포트는 윤창민·오강호 등 7명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가 함께 펴낸 ‘드라마 제작사 다음은 웹툰이다’ 를 선정했다. 이들은 리포트에서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공하는 한류 콘텐츠는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원천 지식재산(IP)으로서의 웹툰 산업의 가치가 높아지는 만큼 관련 종목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rdquo...
2021.02.17 0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