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스코, 인니 수자야그룹 사료·종계 사업부문 인수
하림그룹, 인도네시아 사료·종계 시장 진출
(사진) 하림그룹 주력 계열사 팜스코가 인수한 인도네시아 사료공장. /하림그룹 제공


[한경비즈니스=최은석 기자] 하림그룹이 아세안 최대 경제권인 인도네시아의 사료 및 종계(병아리용 계란 생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하림그룹 주력 계열사인 팜스코는 인도네시아 축산기업 수자야그룹의 사료 및 종계 사업부문을 최종 인수해 현지 경영에 나선다고 11일 발표했다. 팜스코는 운영자금을 포함해 600억원을 현지에 투입할 예정이다.


하림그룹은 한국형 축산 계열화 시스템을 인도네시아에 조기 정착시켜 급성장하고 있는 동남아 육류 단백질 시장 공략의 발판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팜스코가 인수한 사료공장은 인도네시아 수자야그룹이 2014년 완공한 연간 생산능력 50만톤 규모의 최신식 사료 제조 시설이다.

해당 공장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항만 개발을 가속화하면서 글로벌 사료회사들이 속속 진출 중인 서부 자바섬에 위치, 최상의 사업 경쟁력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는다.


2013년 완공된 종계 농장은 전체 면적이 18ha에 이르며, 사육 규모는 17만5000수다.
하림그룹, 인도네시아 사료·종계 시장 진출
(사진) 팜스코가 인수한 인도네시아 종계농장. /하림그룹 제공


하림그룹은 이번 인수로 한국형 육계 계열화 시스템을 인도네시아에 본격 이식하며 닭고기 사업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


인구 2억6000만명의 세계 4위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5%대 경제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는 아시아 신흥국의 선두 국가다. 이 같은 경제성장세에 발맞춰 육류 소비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1인당 연간 닭고기 소비량은 6.3㎏(2014년 기준, OECD)에 불과하지만 소득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국민 대부분이 돼지고기를 금기하는 이슬람교도인 만큼 향후 우리나라 소비량(2016년 기준 14㎏)을 넘어설 전망이다.


인도네시아의 연간 사료 생산량은 2015년 기준 1800만 톤으로, 연평균 10%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가운데 87% 정도가 양계용 사료다.


팜스코 관계자는 “현지에서 축적한 옥수수 사업 노하우에 하림그룹의 검증된 육계 계열화 시스템을 접목하면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며 “사료 및 종계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육계 사육까지 확대하고 향후 도계, 가공, 유통에 이르기까지 계열화 시스템을 전개하는 방안을 차근차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hoi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