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
-현대차, 세계 최고 로봇 기업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
-‘자동차·도심항공모빌리티·로봇’ 미래 삼각축 완성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현대차그룹이 단숨에 글로벌 로봇 시장을 주도하는 ‘키 플레이어’로 급부상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를 통해서다. 현대차그룹은 12월 11일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지분 8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는 정의선 회장이 회장직에 오른 이후 첫 대규모 인수·합병(M&A)이다. 정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삼겠다고 공언한 로봇 사업이 이번 인수를 계기로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지난해 10월 임직원들과 가진 타운홀 미팅에서 “그룹의 미래는 자동차(50%)·개인항공(30%)· 로보틱스(20%)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프리뷰]단숨에 ‘글로벌 키 플레이어’로…정의선 회장의 로봇 승부수
인수 금액은 8억8000만 달러(약 9558억원)다. 현대차가 지분 30%,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가 각각 20%와 10%를 보유하기로 했다. 정 회장도 직접 사재 2400억원을 들여 지분 20%를 매입하기로 해 눈길을 끈다. 현대차 관계자는 “미래 신사업에 대한 책임 경영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규모도 역대급이다. 인수 금액은 현대차의 M&A 역사상 둘째로 큰 규모다. 현대차는 올해 미국 앱티브와 자율주행 합작 법인 모셔널을 설립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인 20억 달러(약 2조1850억원)를 썼다. 현대차는 반드시 로봇 시장을 선점해 ‘미래 먹거리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5년 후 로봇 시장 193조로 커진다

현대차가 로봇 사업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이 시장이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미 기술 발전을 등에 업고 로봇 수요는 빠르게 증가해 왔다. 어느덧 물류·산업 현장 등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돕는 ‘필수재’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현대차에 따르면 올해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약 444억 달러(약 48조 8490억원)로 추산된다. 그런데 최근 추세를 감안하면 앞으로 시장 규모는 이전보다 훨씬 빠르게 커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비대면이 모든 산업을 관통하는 새로운 흐름으로 떠오른 것이 이 같은 관측을 내놓게 된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대차에 따르면 코로나19를 계기로 사람을 대신하는 로봇이 더욱 각광받으면서 내년부터 로봇 시장은 평균 32%의 성장세를 기록해 2025년 1772억 달러(약 193조5910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이런 로봇 시장에서 가장 앞선 기술력을 보유했다고 인정받는 기업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교수였던 마크 레이버트가 1992년 설립해 약 30년 동안 오로지 로봇 연구·개발(R&D)에만 집중해 왔다.


그 결과 로봇개로 유명한 ‘스팟(Spot)’, 사람처럼 움직일 수 있는 ‘아틀라스(Atlas)’ 등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하며 유명세를 떨쳤다. 특히 보스턴다이내믹스는 그간 개발한 로봇의 모습을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해 왔는데 이때마다 혁신적인 로봇의 움직임이 세간의 주목을 끌며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프리뷰]단숨에 ‘글로벌 키 플레이어’로…정의선 회장의 로봇 승부수
이런 기술력에 반해 2013년에는 구글이, 2017년에는 소프트뱅크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이번에 현대차가 소프트뱅크가 소유한 지분 80%를 사들이면서 이 회사를 품은 셋째 글로벌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모든 로봇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를 다투고 있는 기술 기업”이라며 “급격하게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로봇 시장 흐름에 맞춰 빠르게 성과를 내기 위해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로봇 연구만 주력해 온 보스턴다이내믹스

그렇다면 왜 구글과 소프트뱅크는 로봇 시장에서 촉망받는 기업인 보스톤다이내믹스를 매각한 것일까. 그 배경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수익성 때문이었다.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것은 분명했지만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이를 수익 창출과 연결하기보다 계속해 기술력을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에만 주력해 왔다. 이런 보스턴다이내믹스를 두고 이윤을 내는 기업 보다는 연구 조직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빠르게 로봇을 상업화해 성과를 내기 원했던 구글은 결국 기다리지 못하고 인수 약 3년 만에 소프트뱅크에 보스턴다이내믹스를 팔기로 결정한다. 정확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당시 소프트뱅크가 인수에 쓴 금액은 1억6500만 달러(약 1800억원)로 알려졌다. 이후 소프트뱅크는 매년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운영하고 R&D를 지원하는 데 5000만 달러(약 550억원)를 투입하며 미래 로봇 시장 석권을 꿈꿨다.

하지만 예상하지 못한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바로 경영난이다. 소프트뱅크는 야심차게 추진한 비전펀드가 좋지 않은 성과를 내면서 올해 사상 최악의 실적 성적표를 받아들인 상태다. 실적 개선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수익성이 낮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결국 현대차에 넘기기로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소프트뱅크로선 현대차의 제안을 거절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분 80%를 매각하는 조건으로 현대차로부터 1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받기로 했는데 이는 약 3년 전 소프트뱅크가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 때 썼던 돈 보다 6배 정도 많기 때문이다.

반대로 현대차가 지나치게 큰돈을 쓴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업계 관계자들의 해석은 이렇다. 최근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내부 상황을 들여다보면 이 금액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보스턴다이내믹스가 올해를 기점으로 로봇을 판매하며 본격적으로 수익을 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12월 21일 발행되는 한경비즈니스 1308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you@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307호(2020.12.14 ~ 2020.12.20)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