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지난 7일 올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Gross National Income)은 경기회복과 환율하락 등에 힘입어 8천5백38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의 6천8백23달러보다 1천7백15달러(25%)가 늘어난 수준이다. 그러나 IMF 직전인 97년의 1만1천3백80달러보다는 2천8백42달러(25%)가 낮은 수준이고, 지난 94년의 8천9백98달러에 약간 못미치는 것이다. 말하자면 우리의 1인당 국민소득은 5년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이같이 소득이 줄어든 것은 외환위기로 인한 성장둔화도 원인이긴 하지만 그보다 원화의 가치가 많이 떨어져(원화환율 상승)달러표시 소득이 줄었기 때문이다.요즈음 소득수준을 말할 때는 GNI를 쓰고, 생산규모를 따질 때는 GDP(Gross Domestic Product;국내총생산)를 사용한다. 과거에는 생산규모를 말하거나 1인당 소득을 따질 때에도 GNP(Gross National Product;국민총생산)를 기준으로 삼았었다. 80년대 이전에는 국가간의 자본이동과 기술이전이 크지 않아 한 나라의 생산규모를 측정하거나 소득수준의 변화를 나타낼 때 모두 GNP를 사용해도 무방했었다.GNP는 국적을 기준으로 한 생산 및 소득통계다. 예컨대 외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국적의 기업이 현지에서 생산 판매하고 벌어들인 소득이라 하더라도 우리나라 소득으로 잡혔다. 한편 GDP는 지역, 즉 우리나라 영토안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계를 말한다. 따라서 외국인 회사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됐으면 우리경제의 생산규모로 잡힌다.그런데 최근들어서는 국가간의 자본이동과 기술이전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른 보험료 이자 등 요소 소득의 수급규모가 커져 GNP와 GDP의 괴리가 확대됐다. 따라서 많은 나라들이 생산의 중심지표는 GDP를 택하고 소득은 GNI를 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94년부터 경제성장률 등을 산출할 때 기준으로 삼는 생산의 중심지표는 GDP를 사용키로 했다. 그러나 소득지표는 종래의 GNP를 그대로 사용해왔으나 올해부터 GNI 개념으로 바꾸었다.GNI의 산출은 현행 GNP와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당해연도 가격으로 산출되는 명목GNI는 종래의 명목GNP와 같게 된다. 다만 실질소득의 변화가 과거에 비해 어떻게 변화됐는가를 따져 볼 때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실질GNI를 산출할 때 GNP에서 감안하지 않은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하게 된다. 즉 교역조건이 나빠지면 실질소득은 그만큼 더 낮아진다. 교역조건이란 수출로 벌어들인 소득으로 얼마나 수입할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비율이다.예컨대 교역조건이 85라는 것은 과거에 자동차 1백대를 수출하고 그 돈으로 사올 수 있는 석유는 50만배럴이었던 것이 이제는 약 42만배럴(85%)밖에 사올 수 없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역조건 악화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수출가격이 떨어지거나 아니면 수입가격이 대폭 높아져 나타나게 된다. 같은 양을 수출하더라도 그 돈으로 살 수 있는 외국 물건은 줄어드는 셈이다. 이는 소득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그같은 효과를 감안해서 실질소득이 어떻게 변화했느냐를 따지는 것이 실질GNI다. 결국 교역조건이 나빠질수록 경제성장률(GDP증가율)보다 소득증가율(GDI증가율)이 더 떨어진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