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 리스크 관리, 환율 변동에 따라 천당과 지옥 오가는 기업들의 필수 경영 전략

[장동한의 리스크 관리 ABC]
환율 변동의 리스크를 잡아라…코로나19 시대 환리스크 관리 전략은
남대문 시장, 부동산 시장, 주식 시장, 중고차 시장, 컨설팅 시장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시장은 종류도 많고 크기도 다 다른데 세상에서 제일 큰 시장은 무엇일까. 24시간 열려 있고 하루에만 6조 달러(약 6726조6000억원) 넘게 거래되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시장, 바로 외환 시장이다.

막대한 거래량과 전 세계의 엄청난 수의 거래자를 생각해 볼 때 외환 시장은 대표적으로 ‘효율적인 시장’이다. 많은 수의 거래자가 참여해 시장이 매우 경쟁적이며 시장 거래 정보가 널리 공유돼 있고 거래비용이 낮은 시장이 효율적인 시장인데 효율적인 시장에서는 소위 일물일가(一物一價)의 법칙이 적용된다. 같은 상품이라면 여러 다른 시장에서의 가격도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리딩·래깅·매칭·네팅으로 환 리스크 관리
외환 시장의 거래 가격이 환율이다. 지금 당장 외환을 거래할 때 적용되는 환율이 현물 환율이고 미래의 교환을 전제로 하고 오늘 책정된 환율이 선물 환율이다. 1973년 이후 변동환율제도하에서 시장 환율의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환 리스크 관리가 많은 경제 주체들의 주된 관심사가 됐다.

환율의 등락에 따라 환차손을 볼 수도 있고 환차익을 챙길 수도 있는데 계속 기업으로서는 환율의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환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기업들은 헤지(hedge)도 하고 차익 거래(arbitrage)도 한다.

그런데 외환 거래는 왜 할까. 우선 수출입과 같은 국제 거래 결제를 위해 외환이 필요할 텐데 오늘 현재 이 비율은 3% 미만으로 존재감이 미미하고 앞으로 더욱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결제 이외의 이유로 외환을 대량 거래한다는 얘기는 바로 ‘돈 놓고 돈 먹으려는’ 거래가 절대적이라는 뜻이다. 그 거래량이 하루에 6조 달러 플러스다. 헤지, 차익 거래, 투기 거래(speculation) 등이 거래 배경이다.

헤지의 본래 뜻은 귀중한 물건을 보호하기 위해 울타리를 친다는 의미인데 환 헤지는 특정 환율에 거래 가격을 고정해 환율의 변동을 철저히 피하는 외환 거래를 뜻한다. 차익 거래는 특정 자산의 시장 가격이 여하한 이유로 일물일가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노려 ‘싸게 사 비싸게 팔아’ 차익을 노리는 거래로, 금융 시장이나 외환 시장에서 많이 이용된다. 주식 시장에서 자주 논란거리가 되는 공매도가 차익 거래의 대표적인 예다.

한편 자금력도 충분하고 시장 정보가 남보다 우월하다면 공격적으로 시장을 공략해 큰돈을 추구하는 투기 거래가 나타나는데 이는 리스크 감수 행위다. 시장이 혼란스러울 때면 글로벌 투기꾼들이 준동하는데 1992년 영국 파운드화 폭락, 1997년 대한민국 원화 평가 절하를 예상한 투기 거래가 대표적이다. 외환 시장이 어지럽게 되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약육강식의 상황인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라도 환 리스크 관리가 더없이 중요하다.

환 리스크 관리의 구체적인 수단은 무엇일까. 비즈니스 내부적 관리 기법은 리딩(leading), 래깅(lagging), 매칭(matching), 네팅(netting) 등이 있다. 외환 파생 상품의 4형제로 불리는 ‘FFOS’가 실제 많이 활용되는데 바로 선도 거래(Forward), 선물 거래(Futures), 옵션(Option), 스와프(Swap)다. 보험을 통한 리스크 전가도 가능한데 무역보험공사가 운영 중인 환변동보험이 대표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국제 정치·경제 상황이 극도로 불확실해짐에 따라 환율 변동 또한 커질 것으로 예상돼 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비즈니스에 각별히 관심을 갖고 운용할 필요가 있다.



장동한 건국대 국제무역학과 교수·한국보험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