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초과 분양물량, 투기과열지역에서도 추첨제 50% 적용
낙타가 바늘 뚫기 만큼 어렵지만…도전해볼 가치는 충분

청약이 로또로 변질되자 많은 이들은 조금이라도 당첨률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보다는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를 노리라고 조언한다. 중대형 면적 청약은 추첨제 비중이 높아 가점이 낮은 실수요자에게도 가능성은 열려 있다.
실제로 올해 1~10월 분양된 아파트의 청약 접수건수 상위 10개 단지를 보면 8곳이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면적이다. 대방건설이 올해 5월 경기 화성시에 분양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는 전용면적 102.98㎡ 71가구 모집에 10만7508명이 청약을 신청했다.
GS건설이 지난 7월 세종시에 분양한 ‘세종자이 더 시티’는 전용면적 101.82㎡ 384가구 모집에 7만883명의 청약자가 모였다. DL이앤씨가 같은해 9월 서울 강동구에 분양한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 역시 보기 드문 서울 추첨제 물량으로 주목받으며 전용면적 101.04㎡ 48가구 모집에 3만133명이 신청했다.
중대형 평수가 중소형 단지 보다 경쟁률이 높은 것은 추첨제의 유무 때문이다. 현재 투기과열지역에서 공급되는 전용면적 85㎡ 이하의 민영주택은 100% 가점제가 적용되며, 청약과열지역에선 가점제 75%로 당첨자를 선정한다. 이로 인해 가점이 낮은 수요자는 청약 당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반면 투기과열지역에 공급되는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에는 추첨제 50%가 적용된다. 청약과열지역은 추첨제 70%로 당첨자를 선정한다.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 이외 지역에 공급되는 경우는 추첨제가 100%다.
추첨제 물량에 도전하는 실수요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1~10월 전국에서 청약 접수를 받은 민간 분양 아파트 일반공급 물량의 가점 평균은 33.8점이다. 2019년 평균 가점인 27.3점 보다 약 23% 올랐다. 청약 가점 커트라인은 매년 높아지고 있어 추첨제에 도전하는 이들도 많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중대형 평수의 인기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건설사들은 해당 면적을 갖춘 신규 단지를 공급해 실수요자의 갈증을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단지에선 도보로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를 오갈 수 있다. 대구지하철 1호선을 비롯해 KTX, STR, 동대구터미널이 가깝다. 영화관과 아쿠아리움, 서점 등이 있는 신세계백화점과 현대시티아울렛 등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혜림건설 역시 이달 중 광주 북구 운암동 65-6번지 일대에 ‘센트럴운암 모아엘가 트레뷰’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33층, 3개동, 84~114㎡, 303가구 규모다. 85㎡ 초과 물량은 74세대다.
22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3일 1순위 해당지역 △24일 1순위 기타지역 △12월 1일 당첨자 발표 △12월 13~15일 정당계약 순으로 진행된다.
유호승 기자 yhs@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