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차 수요가 줄어들면서 생산량도 감소했다. 중국 컨설팅업체 오토모빌리티에 의하면 작년 중국 내 내연차 생산량은 1770만대로 2017년 대비 37% 줄었다. 오토모빌리티 설립자 빌 루소는 “내연차 생산량 감소에 따라 5000만대 규모의 설비 용량 중 절반에 해당하는 2500만대가량의 생산설비가 유휴상태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좀비공장’으로 내연차 생산설비들이 남겨지게 됐다. 일부 공장은 다른 용도로 변경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공장은 폐공장 신세가 된다. 이 경우 업체들은 공장을 방치하거나, 차량을 생산해 러시아, 멕시코 등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택하게 된다.
현대자동차는 2017년 중국 남서부 도시 충칭에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공장을 설립했다. 연간 3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11억5000만 달러(약 1조5289억원)가 투입됐다.
그러나 6년이 지난 지난해 12월 현대차는 이 공장을 투자 금액의 4분의 1도 못 건진 가격으로 현지 업체에 매각했다. 차량 판매가 부진했던 탓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2016년 약 180만대였으나 지난해 31만대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판매와 생산, 수출에서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시장에서 향후 10년간 현대차 충칭 공장 같은 사례가 수백 개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중국에 진출한 해외 업체 가운데 가장 매출이 많은 폭스바겐은 내연기관 차도 여전히 수익성이 있다고 밝혔다. 폭스바겐 측은 “중국의 자동차 보급률은 아직 매우 낮다. 주민 1000명당 약 185대로, 미국의 800대, 독일의 약 580대에 비해 훨씬 적다”고 설명했다.
중국 전기자동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질주를 하고 있다. SNE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주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 순위에서 중국의 비야디(BYD)가 글로벌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60.8%의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도 20.6%로 비야디가 1위다. 2위는 12.9%를 보인 테슬라(TESLA)다.
중국 자동차 공업협회(CAAM)에 의하면 지난해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3000만대로 잠정 집계됐다. 2022년 2686만대보다 11.69% 증가했다. 2020년에는 2531만대, 2021년 2628만대가 팔렸다.
중국 전기차의 성장에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뒷받침한다. 중국 정부는 2009년부터 전기차 제조업체에 보조금을 지급했다. 2010년엔 ‘신에너지 차’를 7대 신흥 산업으로 선정했다. 전기차, 수소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등이 포함됐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중국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전기차 사업을 지원하는데 1조2500억 위안(약 220조원)을 투입했다고 추산된다.
중국은 전기차 성능의 핵심인 배터리 기술 경쟁력도 함께 키웠다. 글로벌 시장에서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을 확대했다. 지난해 9월 SNE 리서치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과 비야디의 합산 점유율이 절반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두 회사의 합산 점유율은 2023년 상반기 52.5%, 2022년 50.5%, 2021년 41.6%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