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월세 시장 양극화" 수도권 '상승'vs 지방 공급과잉 '하락'
서울 오피스텔 매매 시장이 21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0.05% 하락하면서 2022년 9월 이후 21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지역 오피스텔 매매가 변동률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전용면적 40㎡ 이하 오피스텔은 -0.05%, 40∼60㎡는 -0.07%, 60∼85㎡는 -0.03% 하락하는 등 85㎡ 초과 오피스텔(0.11%)을 제외한 소형 오피스텔은 모두 매매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아파트 시장의 상승세에 힘입어 아파트와 비슷한 규모인 ‘아파텔’은 하락 폭이 줄거나 상승했지만, 소형 규모 오피스텔의 하락 기조로 인해 서울 전체 오피스텔 매매가 하락 폭은 전달과 동일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오피스텔 시장도 비슷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 5월(0.02%)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오피스텔 매매가는 전달 대비 0.14% 하락했다.

특히 경기 지역 오피스텔 가격 하락 폭은 4월 -0.20%에서 5월 -0.21%로 커졌다.

지방 역시 같은 기간 -0.19%에서 -0.20%로 낙폭이 커진 가운데, 대구(-0.43%), 부산(-0.19%) 등에서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신축 공급이 유지되고 입주 물량과 미분양 물량이 누적되는 가운데 투자 수요가 감소하면서 하락 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오피스텔 전세 시장도 신규 입주매물 적체와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전국 오피스텔 전셋값 변동률은 -0.13%로 4월(-0.11%)에 비해 낙폭이 커졌다. 서울은 0.08%, 수도권은 0.10%, 지방은 0.22% 각각 하락했다.

반면, 월세 시장의 경우 수도권은 오르고 지방은 하락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서울 및 수도권 월세 시장은 월세 선호 현상으로 수요가 늘면서 지난 5월 각각 0.20%, 0.1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공급 과다에 시달리는 지방 오피스텔 시장은 전월 대비 0.04%포인트 커진 0.07%의 하락률을 기록하면서 5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방의 경우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하락세가 더욱 가속화될 수도 있을 것으로 부동산원은 내다봤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