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BO리그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VS KIA 타이거즈 시범경기/사진=한국경제신문
2025 KBO리그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VS KIA 타이거즈 시범경기/사진=한국경제신문
2025시즌 프로야구 개막(3월22일)을 앞두고 유통업계가 야구팬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프로야구 관중이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은 데 이어, 지난 주말에 열린 시범경기도 매진 행렬을 보였다. 올해도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불황으로 침체된 유통업계가 충성고객인 야구 팬덤을 통한 실적 개선을 노리고 있다.

롯데 쇼핑 전자상거래 플랫폼 롯데온은 지난 5일 문을 연 ‘롯데자이언츠 공식 브랜드관’의 전체 구매자 중 첫 구매자 비중이 약 65%에 이른다고 17일 밝혔다. 첫날 오픈 1시간 만에 판매수량이 2000건을 넘었다.

SSG 닷컴 역시 SSG랜더스 공식 브랜드관의 한정판 유니폼 900장과 모자 220개를 완판했다. 같은 달 최정 선수의 한국야구위원회(KBO) 리그 역대 최다 홈런 신기록을 기념해 출시한 디지털 앨범도 인기를 끌면서 스포츠 의류 및 잡화 내 ‘구기·라켓·기타’ 항목에서 매출 3위에 올랐다.

‘원정’도 불사하는 모습을 통해 열성 팬들이 경기를 관람하는 단순 관중이 아니라 충성 고객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소비력을 갖춘 40~50대는 물론 굿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젊은 여성들의 야구 사랑이 관련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유통가에선 야구팬의 충성심에 주목하며 구단과의 콜라보를 진행하고 있다. ‘연세유업’은 두산베어스와 협업하여 ‘연세우유 먹산 생크림빵’을 출시해 SNS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패션업계도 야구팬 확보에 나서고 있다. 무신사는 최근 키움히어로즈 구단과 협업해 야구 유니폼과 점퍼, 모자 등을 내놨다.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산산기어는 삼성라이온즈와 손잡고 유니폼, 모자, 바람막이, 슬리브, 가방 등을 선보이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프로야구 인기 폭발이 미치는 경제적 파급력이 상당하다”며 “야구 관중이 젊은 여성들과 가족 단위로 확대되면서 업체들 입장에서는 탄탄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셈”이라고 말했다.

조수아 인턴기자 joshu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