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호(號)는 2009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이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0.2%의 플러스 성장을 이룬 데 이어 2010년에도 6%에 이르는 성장을 일궈냈다. 외국인투자자들이 한국 경제에 호평을 하면서 ‘바이 코리아(Buy Korea)’에 나서자 2010년엔 주가, 원화가치, 채권 가격이 일제히 상승하는 트리플 강세가 나타났다.
정부와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민간 경제연구소 등 각종 기관이 내놓은 2011년 한국 경제 기상도는 ‘대체로 맑음’이다. 세계 경제의 회복세를 바탕으로 소비와 수출이 호조를 이루면서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핵심 지표인 경제성장률(GDP 증가율)은 4∼5%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물론 2010년의 6% 수준과 비교하면 수치 자체는 낮아지는 것이지만 이는 2010년이 워낙 높았기 때문(기저효과)이란 게 한결같은 진단이다. 4∼5% 수준의 성장률은 4% 정도로 분석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같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어서 탄탄한 성장세로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2011년이 ‘내내 쾌청’하다고만 예상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많다. 당장 물가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여기에 북한의 도발, 중국의 긴축정책, 유럽의 재정위기, 미국의 더딘 회복세 등 한국 경제를 둘러싼 변수가 워낙 불확실한 만큼 ‘소나기’나 ‘돌풍’이 올 수 있다는 경계론도 만만찮다.
4%대 성장 전망이 대세…上低下高 흐름 될 듯
지금까지 2011년 한국 경제 전망을 내놓은 주요 기관 중 가장 비관적인 곳은 삼성경제연구소, 가장 낙관적인 곳은 기획재정부다. 삼성경제연구소가 3.8%, 재정부가 5% 안팎의 성장률을 각각 제시했다. 나머지는 모두 4%대를 예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4.5%와 4.3%를 점치고 있다. 체조 심사에서처럼 최고와 최저를 빼면 4%대가 나온다.
성장률 4%대의 의미는 뭘까. 한국은행은 2000년부터 글로벌 경제위기가 닥치기 전인 2007년까지 연간 성장률의 평균치가 4.5%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은은 4.5%의 성장률을 제시하면서 “2011년엔 우리 경제가 추세성장률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2008년과 2009년의 추락, 2010년의 급반등 등 3년간의 비정상적인 흐름이 끝나고 2011년엔 경제가 정상궤도로 복귀한다는 의미다.
우리 경제가 2011년에도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은 소비, 투자, 수출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수출은 10% 안팎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민간 소비도 4%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수출과 내수를 맞추기 위해 기업은 생산을 늘려야 하고 투자를 확대할 수밖에 없다. 2011년 설비투자 증가율은 대체로 6∼7% 선으로 관측되고 있다.
2011년의 성장률 그래프는 상반기가 낮고 하반기가 높을 전망이다. 이는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돼 나타나는 현상이다. 2010년 성장률은 상반기에 7.6%, 하반기에 4.6%로 예상(한은 전망)되고 있다. 한은은 2011년 성장률을 상반기 3.8%, 하반기 5%로 잡고 있다. 다른 기관도 수치는 약간 다르지만 상저하고(上低下高)가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환율은 하락, 금리는 상승 전망
2010년 원·달러 환율은 천안함 사태 등 북한의 도발, 유럽 일부 국가의 재정위기, 글로벌 환율전쟁 등으로 널뛰기했다. 금방이라도 1100원 선이 무너질 것처럼 보였지만 125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평균 환율을 보면 2009년 1276원에서 2010년엔 1160원 수준으로 하락했다(2010년 12월 중순 현재).
2011년엔 1100원 선이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2011년 평균 환율로 금융연구원은 1060원, 현대경제연구원은 1050원을 제시하고 있다. 외국 투자은행(IB)들은 이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관측하고 있다. BNP파리바는 1040원, 크레디트스위스는 1026원, 스탠다드차타드는 1025원을 내놨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메릴린치는 980원으로 전망해 2011년엔 1000원 선마저 붕괴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는 상승 전망이 지배적이다. 당장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다. 2010년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한은은 이후에도 “기준금리를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삼성, LG, 현대 등 민간 경제연구소들은 한은이 현재 연 2.5%인 기준금리를 2011년 중 연 3∼3.5% 수준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삼성이 연 3∼3.25%, 현대가 연 3.25∼3.5%, LG가 연 3.5%를 점치고 있다. 국내 증권사들의 컨센서스 역시 연 3.25∼3.5%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시중금리가 상승할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다. 민간 연구소들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 기준으로 연 3.8∼4.3%를 예측하고 있으며 삼성경제연구소는 신용등급 AA-급 회사채(3년 만기) 금리 기준으로 연 5.1%를 내다보고 있다.
물가, 북한 문제 등 불안요소도 많아
재정부는 2011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 수준으로 2010년(2.9%)과 비슷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금융연구원, KDI 등은 3%를 웃돌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물가를 더 우려해 3.5%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이 이처럼 물가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수요 압력에다 중국발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이다. 한은은 공무원 임금이 3년 만에 5.1% 인상되는 것을 비롯해 그간 억눌렸던 임금 인상 요구가 강하게 표출될 것이며 전세 가격의 급등과 TV 수신료 인상 전망 등을 두루 고려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를 크게 웃돌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국의 물가가 치솟으면서 그 여파가 한국으로 미치는 차이나플레이션(Chinaflation)도 배제할 수 없다. 물가가 뛰면 이를 잡기 위해 한은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와 폭으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이는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리 경제가 넘어야 할 산은 이뿐만이 아니다. 당장 3월 이전에 유럽의 재정위기 확산 여부가 판가름 난다. 포르투갈, 스페인 등에서 발행한 채권의 만기가 이때 집중 도래하는데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국제 금융시장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중국의 긴축 속도와 강도도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은 2010년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1%에 이르렀다. 이대로 두다간 인플레이션의 늪에 빠질 수 있다.
2011년 최대 고비는 역시 북한의 도발 여부다. 북한이 2010년처럼 도발을 멈추지 않는다면 한국의 지정학적 위험이 고조될 수밖에 없다. 2010년엔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으로 쌓아올린 것을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한순간에 잃었다. 한국 정부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국가들과 북한 문제를 잘 해결해야 나가야만 2011년 우리 경제가 탄탄대로를 달릴 수 있을 것이다.
박준동 한국경제신문 기자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