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

편집자 주
최근 화제가 된 기업인의 뉴스 데이터를 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를 활용해 분석한 뒤, 해당 기업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짚어본다.
[CEO & BIGDATA] ‘부패 금고’ 오명에 발목잡힌 새마을금고의 미래 청사진
“지속적인 혁신과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새마을금고 100년 역사를 만들어 나가겠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이 올해 새마을금고 창립 60주년을 맞아 밝힌 포부다.

하지만 지금 새마을금고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들여다보면, 박 회장이 제시한 ‘혁신’과 ‘리스크 관리’라는 키워드와는 뚜렷한 온도차를 보인다. 혁신을 통한 미래 청사진을 기대하긴커녕, ‘비리 백화점’, ‘부패 금고’ 등의 오명으로 뒤덮였던 과거 패턴을 고스란히 답습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른다.

실제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수수료 불법 지급 의혹, 사모펀드(PEF) 불법 리베이트 의혹 등으로 곤욕을 치르는 중이다. 특히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사건 관련인이 박 회장의 최측근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가 일련의 사건에 직접적으로 연루돼 있는지도 주목받고 있다. 이와 별개로 새마을금고의 내부통제를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박 회장의 리더십 부재 문제까지 거론되는 분위기다. 최근 3개월간 박 회장과 관련된 뉴스 데이터 500건에서 추출한 주요 키워드를 짚어본다.
[CEO & BIGDATA] ‘부패 금고’ 오명에 발목잡힌 새마을금고의 미래 청사진
#압수수색 #중앙회 임직원 #PF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새마을금고 투자 부문에 대한 전방위적인 수사는 지난 3월 부동산 PF 대출 수수료 불법 지급 의혹 관련 강제수사가 첫 신호탄이었다. 당시 검찰은 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 지점 등 8곳을 압수수색하고, PF 대출 수수료 40억 원을 빼돌린 혐의로 새마을금고중앙회 전 직원 박 모 씨와 노 모 씨, 새마을금고 지점 직원 오 모 씨 등 3명을 기소했다. 지난 6월 2일에는 서울동부지법 제11형사부(김병철 부장판사)가 이들 전·현직 직원의 첫 공판을 진행했다. 이들의 혐의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배임)·‘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이다.
[CEO & BIGDATA] ‘부패 금고’ 오명에 발목잡힌 새마을금고의 미래 청사진
#사모펀드 불법 리베이트 의혹 #운전기사 출신 #M캐피털 B부사장
부동산 PF 대출 수수료 불법 지급 의혹에 대한 수사는 새마을금고중앙회의 PEF 비리 의혹으로 옮겨 붙었다. 특히 최근에는 수사의 포위망이 중앙회 수뇌부로도 뻗어 가는 중이다. 검찰은 지난 6월 8일 PEF 불법 리베이트 의혹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박 회장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또 6월 19일에는 박 회장의 운전기사 출신으로 알려진 M캐피털 부사장이 비리 의혹의 핵심 인물로 분류돼 구속 기소됐다. M캐피털 부사장은 지난 2019년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부 차장 등에게 청탁해 새마을금고중앙회 펀드 자금 3370억 원을 5회에 걸쳐 S자산운용사에 유치하도록 알선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새마을금고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를 계속해서 이어 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PF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한편 새마을금고의 부동산 PF 대출은 대출 불법 수수료 의혹뿐만 아니라 부실 위기론과도 맞닿은 키워드다. 올해 부동산 경기가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새마을금고의 PF 부실에 대한 우려가 잇따라 제기됐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가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새마을금고의 관리형토지신탁 사업비 대출 잔액은 2019년 말 1694억 원에서 지난해 말 15조5079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관리형토지신탁은 넓은 의미에서 부동산 PF 대출로 볼 수 있다. 각종 비리 의혹과 유동성 부실 우려가 잇따르면서, 새마을금고를 둘러싼 악재가 겹겹이 쌓인 형국이 됐다.

글 정초원 기자 ccw@hankyung.com│사진 한국경제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