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슴으로 낳아 지갑으로 키운다' 집사들 잡는 헤지스[최수진의 패션채널]
반려동물에 대해 말할 때 흔히 '가슴으로 낳아 지갑으로 키운다'고 합니다. 가족의 일원으로 품어,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는 의미가 담겨있죠. 특히,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도 반려동물에 쓰는 소비는 줄지 않는다고 합니다. 내가 먹을 거, 입을 거 아껴서 내 강아지 혹은 고양이에 하나 더 해주려는 게 보호자의 마음이지요.이 시장은 블루오션이라고 합니다. 이제 막 커지기 시작한 데다가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시장이라는 뜻입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반려동물 시장은 2015년 1조9000억원 수준에서 올해 4조5786억원까지 확대되고, 2027년에는 6조55억원까지 커질 전망입니다.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져 '1조 시장'에서 '6조 시장'이 된다는 겁니다. 게다가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1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600만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됩니다.그래서 헤지스가 오늘(22일) 반려견 의류 라인을 론칭한다고 밝혔습니다. 내일(3월 23일)이 '국제 강아지의 날'인데, 이 시기에 맞춰 발표한 겁니다. 반려동물이 인간의 삶과 더욱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반려견의 패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눈높이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는 게 론칭 이유입니다.타깃은 '펫펨족(Pet+Family)'입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아끼는 모든 소비자들이 헤지스의 예비 고객인 셈이죠. 헤지스의 스테디셀러인 '아이코닉 라인'을 반려견 의류로 선보입니다. 6만원대 피케 반팔 티셔츠와 17만원대 케이블 스웨터가 나옵니다. 일단, 헤지스의 로고부터가 영국
2023.03.22 17:25:53
-
“3년간 데이터 수집…‘멍멍’ 소리로 AI가 반려견 감정 알아내죠”
[인터뷰]“나는 아무렇게나 입어도 괜찮지만 우리 아이는 고급지게 입혀야죠.”여기에서 ‘우리 아이’는 반려동물이다. 최근 1인 가구 등 ‘혼족’이 늘어나면서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도 늘고 있는데 한국에선 이미 반려견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쉽게 말해 서울시 인구(959만8484명) 전체가 반려견을 키우는 규모다. 새로운 수요를 감지한 기업들이 반려견 제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이제는 출근하는 직장인이 프라다 조끼를 입은 반려견을 애견 유치원에 맡기는 모습도 이따금씩 볼 수 있다. 100만원이 훌쩍 넘는 반려견 소파를 없어서 못 산다는 말은 더이상 우스갯소리가 아니다.하지만 펫팸족(Pet+Family :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에게는 커다란 고민거리가 있다. 회사에서 일하거나 출장 또는 여행을 갈 때 애지중지 키우는 반려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지인이나 애견 유치원에 맡겨도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반려 용품이 다양해지면서 ‘우리 아이’가 어떤 브랜드의 음식을 더 좋아하는지, 어떤 옷을 입었을 때 편안해 하는지 등 더 정확하게 반려견의 ‘감정’을 알고 싶어한다. 스타트업 ‘펫펄스랩’은 이러한 수요에 주목했다. 짖는 소리를 분석해 반려견의 ‘감정’을 메시지로 전달하는 것이다. 예컨대 슬픈 이유가 배가 고파서인지, 주인과 떨어져 있어서인지 파악해 메시지를 주인에게 보낸다. 장윤옥 펫펄스랩 대표는 “멀리 있어도 감정의 거리는 가까워야 한다”며 “펫펄스는 반려견이 감정 신호를 줄 때 이를 바로 파악할 수 있다. 펫펄스로 케어(care) 문화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
2021.04.18 06: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