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륙의 테슬라' 무서운 질주…현대차·포드도 제쳤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가 8월 글로벌 자동차 판매 세계 4위에 오르며 거센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탄탄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면서 전기차만으로 내연기관 차량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29일 대만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비야디는 8월 세계 자동차 판매 점유율 4.8%를 기록해 세계 4위를 차지했다. 1위 도요타(9.8%), 2위 폭스바겐(6.5%), 3위 혼다(4.9%)에 이어 4위에 올랐다. 혼다와의 격차는 0.1%포인트에 불과했고, 판매율로 현대차(4.3%)와 포드(4.2%)도 제쳤다. 트렌드포스는 "중국 자동차 시장의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 육성을 위한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신에너지차만 생산하는 비야디의 8월 판매는 전월보다 5% 증가했다"고 밝혔다. 비야디의 8월 판매량은 27만4386대로, 전년 동기 대비 56.8% 증가했다. 올해 1∼8월 누적 판매는 179만2184대에 달해 전년 동기보다 83.1% 늘었다. 비야디는 중국이라는 거대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을 거듭해왔다. 미중 갈등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사업 초기부터 차량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수직 계열화된 생산 구조를 구축한 것이 다른 전기차 업체들과의 차별점이다. 비야디는 중국 전체 신에너지차 부문에서 올해 7월 기준 판매 점유율 40.5%로 1위다. 2021년 5월 해외 진출 계획을 발표한 뒤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독일, 호주, 일본, 브라질 등 55개 국가에 진출했다. 올해 1분기 브라질, 콜롬비아, 이스라엘, 태국에서는 BMW와 르노 등의 판매량을 앞질렀다. 올해 상반기
2023.09.29 14:36:00
-
또다시 ‘유럽의 병자’ 전락하나…독일의 삼중고
[비즈니스 포커스] 세계 4위 경제국이자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 장기 침체의 늪에 빠져 비틀거리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와 이코노미스트 등 주요 외신은 독일 경제가 주력 산업의 부진으로 올해 역성장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러시아에서 값싼 에너지를 수입해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에 수출하며 성장하던 시대가 끝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독일 경제의 부활을 이끌었던 친중·친러 노선과 제조업 중심 경제 구조가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독일이 또다시 ‘유럽의 병자(Sick man of Europe)’로 추락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독일 경제는 1990년 통일 이후 고질적인 고실업·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유럽의 병자’로 불렸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실업률이 크게 하락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2010년대 중반에는 ‘이코노믹 슈퍼스타(economic superstar)’로 거듭났다. 하지만 지금은 다시 상황이 달라졌다. 독일 경제는 고령화·투자 부족 등 자체 성장 동력이 약화한 가운데 미국·중국 갈등,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며 대외 의존도가 높은 경제 성장 모델이 한계에 봉착했다. 독일 경제부는 10월 올해 경제 전망을 발표할 때 지난 4월 말 예상했던 연간 0.4% 증가에서 0.3% 역성장으로 하향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전 세계 주요 경제국 중 독일이 유일하게 올해 0.3% 역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독일 경제가 ‘나 홀로 역성장’ 위기에 빠진 데는 크게 세 가지가 패착으로 꼽힌다. 높은 중국 의존도와 자동차 산업 부진, 높은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것이다
2023.09.24 07:59:05
-
한국타이어, 中 BYD 전기트럭에 '한국 RA08' 공급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전 세계 친환경차 판매 1위 기업 중국 비야디(BYD)의 1톤 전기트럭 ‘T4K’에 소형 트럭용 래디얼 타이어 '한국 RA08(Hankook RA08)'을 신차용 타이어(OET)로 공급한다. T4K는 BYD의 배터리 기술력이 집약된 혁신적인 '블레이드-LFP 배터리'를 장착해 긴 주행거리와 우수한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 상용차 모델 최초로 차량의 전력 에너지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는 'V2L(Vehicle to Load) 커넥터'를 탑재했다. 한국타이어는 T4K에 소형 트럭용 래디얼 타이어 '한국 RA08'을 신차용 타이어로 공급한다. '한국 RA08'은 강력한 견인력으로 차량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며 우수한 내마모성으로 뛰어난 마일리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적화된 패턴 설계로 제동력도 한층 향상시켜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BYD는 2022년 186만 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하며 관련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한 세계 최대 친환경차 기업이다. 2022년 업계 최초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 중단을 선언하고 친환경차량 생산에만 집중하고 있다. 전 세계 70개 이상의 국가에 진출해 승용차뿐만 아니라 상용차, 특장차 등 전 모빌리티 영역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립모터(링파오)의 전기 SUV ‘C11’, 니오(NIO)의 전기 SUV ‘ES6’, ‘EC6’ 등 중국 완성차 업체들의 인기 전기차 모델과 일본 완성차 브랜드 토요타의 최초 순수 전기차 ‘bZ4X’의 중국용 판매 차량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며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가고 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이번 신차용 타이어 공급을 계기로 BYD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보다 강화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중
2023.09.15 09:59:02
-
“전기차 가격 전쟁 이제 그만 끝내자”…테슬라-BYD 휴전 합의
전기차 업계 1~2위 업체인 미국 테슬라와 중국 BYD가 중국에서 가격 인하 전쟁을 잠시 멈추는 데 합의했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의 가격 전쟁 휴전 합의가 다른 나라에도 확산될 것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블룸버그통신은 7월 6일 미국 테슬라와 중국 비야디(BYD), 니오, 샤오펑(Xpeng) 등 16개 기업들이 상하이에서 열린 오토포럼에서 '비정상적인 가격 책정을 피하겠다'는 내용의 협약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서약에는 전기차 회사뿐 아니라 중국제일자동차(FAW·이치), 둥펑자동차(DMC), 상하이자동차(SAIC), 베이징자동차(BAIC)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완성차 업체는 대부분 외국 자동차 브랜드와 합작회사를 운영하고 있지만, 100% 외국 자본인 기업은 테슬라가 유일했다.이들은 전기차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 생태계를 구축하고, 고객에게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중국 내 전기차 시장에서 가격 전쟁이 심화된 것은 지난해 말 테슬라가 판매 촉진을 위해 가격 인하에 나서면서 부터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미국을 시작으로 유럽, 중국, 일본, 한국 등 주요 시장에서 전기차 가격을 낮추며 판매가 인하 경쟁을 촉발시켰다. 이후 중국 내 테슬라의 최대 경쟁자로 손꼽히는 BYD를 포함해 전기차 주요 브랜드들도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일제히 가격 인하에 동참했다.지난해 말과 비교해서 테슬라 가격은 올해 5월 기준 6.6% 낮아졌고, BYD는 6.1% 저렴해졌다. 베이징자동차 산하의 전기차 브랜드 아크폭스(Arcfox)는 인하폭이 13.8%로 가장 컸다. 이와 같은 흐름이 계속되면서 기존 전기차 구매 고객들의 불만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가
2023.07.07 13:52:13
-
중국 전력난에도 전기차 판매량 ‘대박’…BYD 경쟁 우위 탄탄[돈 되는 해외 주식]
중국이 최근 전력난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판매량이 시장 기대치를 앞섰다. 중국 전기차 제조 업체인 BYD의 경쟁 우위는 향후 더 견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8월 중국 전기차(이하 승용차 도매 기준) 판매량은 63만2000대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며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서 제시했던 8월 잠정치인 62만5000대를 소폭 웃돌았다. 8월 중·하순에 쓰촨성 전력 공급 제한으로 일부 전기차 제조사들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생산에 차질을 빚었지만 중국 전기차 제조 업체인 BYD는 제한적인 수준이었고 장안자동차·리오토 등 전기차 시장에서 비율이 높지 않은 기업들의 판매량이 급감하며 전체 전기차 판매량에 끼쳤던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중국 전기차 판매 2위 업체인 테슬라의 상하이 기가팩토리 시설 보수가 완료되며 테슬라의 8월 판매량이 6월 수준까지 회복된 점도 중국 8월 전기차 판매량이 역대 최고치를 재차 경신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2022년 8월 중국 전기차 월간 침투율은 도매 기준 30.1%, 소매 기준 28.3%로, 전년 대비 각각 9.7%포인트, 11.0%포인트 개선됐다.8월 전기차 판매량 1 위는 BYD로, 월간 시장점유율 28%를 차지하며 최근 15개월 연속 1위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BYD는 쓰촨성 전력 공급 제한과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해 차량 판매에 다소 영향을 받으며 8월 월간 시장점유율이 전달보다 축소됐지만 여전히 올 7월 누적 점유율인 27.2%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뒤를 이어 테슬라가 상하이 기가팩토리 시설 보수 완료로 생산량이 회복됨에 따라 8월 판매량이 6월 수준까지 도달하며 8월 시장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상하이 GM 우링이 시장점유율 8%로 3위다.
2022.09.22 06:00:07